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서울시, 땅꺼짐 안전관리 투자확대…GPR 탐사결과 등 공개

지하공간 관리 혁신안 발표
계측 신기술 도입·전담조직 신설
권태욱 기자 2025-04-23 17:17:14
오세훈 서울시장이 23일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복합개발사업 공사현장에서 지표투과 레이더(GPR) 차량을 살펴보고 있다. 서울시

서울시가 대형 지하 땅꺼짐(싱크홀) 사고로 인한 시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안전관리 방안을 내놓았다. 

서울시는 23일 지하공간 안전관리에 대한 집중 투자와 점검 강화를 담은 ‘지하공간 관리 혁신안’을 발표했다.  

혁신안에는 △지하공간 안전관리 투자 확대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 확대 △정보 공개 △ 노후 하수관로 보수 예산 2배로 증액 △전담조직 신설 등을 담고 있다. 

상하수관도 누수에 따른 소규모 지반 침하부터 대형 지하 굴착 공사장 인근에서 발생하는 싱크홀까지 예방하기 위한 대책이다. 

먼저 탐사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신기술인 ‘지반침하 관측망’을 운영한다. 기존 지표투과레이더(GPR) 장비는 탐지할 수 있는 깊이가 지표면으로부터 2m 안팎에 불과해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지반침하 관측망은 지반 안에 관측 센서를 설치해 지하 20m까지 지층 변동을 살필 수 있는 기술로, 강동구 명일동 지반침하 사고 현장과 가까운 지하철 9호선 4단계 1공구 현장에 5월부터 설치한다. 

지반침하 예방 관련 신기술을 공개 모집하고, 우수 기술을 선정해 대규모 지하 굴착공사 현장에 먼저 적용한다. 

또 실시간으로 계측하며 지반 침하를 미리 감지할 수 있는 ‘스마트 계측 신기술’도 도입한다. 15억원을 들여 현재 4대인 차량형 GPR 장비를 7대로 늘린다. 

서울시가 관리하는 도로 조사 범위를 현재 30%에서 60%로 늘리고 자치구가 선정한 우선 점검지역에 대한 조사도 신속하게 벌인다. 

굴착공사의 품질을 높이고 지반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비용이 전체 공사비에 충분히 반영되도록 제도 개선도 추진한다. 

시민 불안감 해소를 위해 탐사 결과도 투명하게 공개한다. 서울 시내 철도 공사장 5곳(49.3㎞)과 자치구에서 선정한 우선 점검 대상 50곳(45㎞ 구간) 등에 대해 GPR 탐사를 하고 서울안전누리 홈페이지에 결과를 공개하기로 했다.

이번에 특별점검하는 철도 건설 공사장 주변 5곳은 9호선 4단계 건설공사(1∼3공구) 4.1㎞, 동북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 건설공사(1∼4공구) 13.4㎞,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공사 1.0㎞, 신안산선 12.1㎞(석수역∼여의도역),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 18.7㎞(수서역∼서울역) 구간 등이다. 

지반침하에 대한 시민 신고도 신고 내용과 결과를 주기적으로 알리기로 했다. 

대형 굴착 공사장을 중심으로 지반 특성과 지하수 흐름을 고려한 ‘지반 특성 반영 지도’도 제작한다. 이 지도는 전문가와 시민 검토를 거쳐 공개하기로 했다. 

30년이 넘은 노후 하수관 교체 사업도 속도를 낸다. 기존에 연평균 2천억원을 들여 100㎞를 정비했던 것을 앞으로는 4천억원을 들여 연간 200㎞를 정비할 계획이다. 

30년 이상 지난 상수도관 3천74㎞에 대해서는 2040년까지 순차 정비한다. 

재원 확보를 위해 정부에 국비 지원 확대를 요청할 계획이다. 

전담 조직도 신설한다. 2개 팀 9명으로 운영하던 지하공간 관리 조직을 30명 규모의 ‘지하안전과’로 확대한다. 전문인력도 영입한다. 

이를 통해 공동탐사 정기 점검 주기를 5년에서 1년으로 단축하고 지하 10m 이상 굴착·터널 굴착공사장 특별점검 주기도 연 1회에서 월 1회로 줄일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오전 지반침하 안전 대책과 관련해 강남구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건설 공사장을 방문해 굴착 현장을 살피고 GPR 조사 결과를 점검했다. 

오 시장은 지하 35m 깊이에서 이뤄지는 영동대로 3공구 공사 현장을 점검한 뒤 “대형 굴착공사장 위주로 GPR 탐사를 강화하고 노후 하수관로 개량 예산을 획기적으로 늘려 땅 꺼짐 사고를 예방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오 시장은 싱크홀 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제작한 안전 지도를 공개하지 않는 것과 관련해 “부동산 가격을 의식해 정확한 지도를 공개하지 않는다는 오해가 있다”며 “해당 지도는 토지와 지하수 흐름 등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토교통부와 협조해 지반 침하에 대비한 보다 완벽한 지하 지도를 완성하기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면서 “향후 제작할 지도는 사회적 공감대를 전제로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