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55년만 첫 파업’ 포스코 ‘운명의 날’...“파업 찬성” 75%

28~29일 포스코노조 파업 찬반 투표...30일 중노위 조정
“태풍 피해 복구 열심히 했다” vs “무리한 요구안 수용 불가”
조정 결렬 시 관련 업계도 파장...극적 타결 가능성도
이승욱 기자 2023-10-30 09:14:14
포스코노동조합이 지난 6일 오후 전남 광양제철소 앞에서 쟁의대책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하고 있다. /연합뉴스

창사 55년 만에 첫 파업 위기를 맞고 있는 포스코가 운영의 날을 맞았다. 포스코노동조합이 파업 찬반 투표를 한 결과, 찬성 75% 이상으로 가결되면서 30일 중앙노동위 조정회의에서 파업 실행 여부가 최종 판가름 날 전망이다. 

30일 포스코 복수노조 중 대표교섭 단체인 한국노총 계열인 포스코노조에 따르면 노조는 지난 28~29일 쟁의행위찬반 투표를 진행했다. 

이번 찬반 투표에는 조합원 1만1천145명 중 1만756명(투표율 96.51%)이 참여했다. 또 투표자 중 8천367명이 찬성표를 던졌고 찬성 투표율은 75.07%에 달했다. 반대는 2천389명(21.44%)에 그쳤다. 

포스코노조가 쟁의행위에 대해 과반수 이상 찬성으로 결론 내리면서, 이날 열릴 예정인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에서 노조가 사측과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 파업에 돌입할 수 있다. 

앞서 포스코노조는 지난 5월부터 24차례 회사 측과 임금 및 단체협약 협상을 벌여왔다. 하지만 접점을 찾지 못했고, 노조는 지난 10일 중노위에 조정 신청을 했다. 

최근까지 이어진 교섭에서 회사 측은 기본급 16만2천원 인상안을 제시했다. 또 △주식 400만원 지급 △일시금 150만원 지급 △격주 주 4일제 도입 등을 제안했다. 

이에 반해 포스코노조는 △기본급 13.1% 인상 △조합원 대상 자사주 100주 지급 △목표 달성 성과금(PI) 200% 신설 등을 회사 측에 제시했다.

노조 측은 지난해 태풍 힌남노 피해 이후 제철소 복구에 직원들이 열성을 다한 만큼 요구안이 받아들여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회사 측은 노조 측 요구를 수용할 경우 1조원대 인건비 지출이 예상된다며 수용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만약 이날 열린 중노위에서 조정이 결렬되면 사실상 포스코는 55년 만에 첫 파업 상황을 맞이할 가능성이 커지고 업계 전반에 파장도 클 전망이다. 

24시간 근무 체제인 철강제조업 특성상 파업으로 인한 고로 가동 중단이나 생산 차질 등이 빚어질 경우 자동차 강판과 조선 후판 등 연관 업계에도 피해가 예상된다. 

다만 파업이라는 최악의 상황은 노사 양측이 피하고 있다는 점에서 극적인 최종 타결 가능성도 있다. 포스코노조는 지난 27일 호소문을 통해 “회사는 찬반 투표가 가결되면 즉시 파업을 한다고 거짓 선동을 한다”며 “조합은 단계별 체계적인 쟁의행위를 준비해 왔고 파업은 최후 수단”이라고 밝혔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