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국민 4명 중 3명 ‘원자력발전 필요’…거주지역 설치는 ‘반대’

에너지 국민인식조사 발표…‘원전 안전’ 응답 66.1%
거주지 인근 설치 시 찬성은 42% 그쳐…반대 56.4%
이승욱 기자 2023-11-07 08:59:57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자료

국민 4명 중 3명이 원자력발전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거주 지역에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하는 것에 대해서는 절반 이상이 반대 뜻을 내비쳤다.

7일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에 따르면 ‘2023년 에너지 국민인식조사’ 결과 ‘원자력발전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75.6%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22.1%, ‘모름 혹은 무응답’은 2.3% 비율을 차지했다.

재단은 여론조사기관 코리아리서치센터에 의뢰해 지난 9월 23일부터 지난달 5일까지(주말 및 휴일 제외) 전국 만 18세 이상 국민 1천명을 대상으로 전화 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조사의 응답률은 7.2%이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조사 결과, 국민 대다수가 러-우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시장 불안정성이 우리나라의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이 크다’고 응답한 비율은 82.8%에 달했다.

원전 안전성에 대해서는 응답자 중 66.1%가 ‘안전하다’고 답했으며, 60.9%가 ‘국내 원전 방사성폐기물의 관리 안전성’에 동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원전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원전 설계‧건설‧운영 등 기술 전반에 대한 신뢰’(38.9%)가 1순위로 나타났다. 반면, 불안전하다고 인식하는 이유로는 ‘예상외의 사고가 우려되어서’(57.6%)가 1순위로 꼽혔다. 

국내 원전 계속운전에 대해서는 국민 10명 중 7명이 찬성(70.6%)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절반 이상이 ‘국내 원자력 발전량을 늘려야 한다’(55.5%)고 답했다.

다만 거주하는 지역에 원자력발전소가 건설될 경우, ‘반대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56.4%를 차지하며 ‘찬성할 것’(42.0%)이라고 응답한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 이유는 ‘방사능 노출에 대한 위험 우려’(59.0%)가 1순위였고, 찬성 이유는 ‘에너지 자립을 위해 필요하다’(51.1%)가 1순위였다.

또한, 응답자의 91.8%는 ‘사용후핵연료 저장‧처리시설 마련이 시급하다’고 답했고, 원전 부지 내 건식 저장시설의 시급성에 대해서도 80.3%로 높게 인식했다.

적절한 보상 및 안전성이 보장되는 경우, 거주하는 지역에 사용후핵연료 처리장 건설을 한다면 ‘찬성할 것’이라는 의견은 53.0%로 집계됐다. 

에너지정보문화재단 내 설립된 원전소통지원센터 노동석 센터장은 “에너지 국민인식조사를 통해 에너지 및 원자력현안에 대한 국민 의견을 수렴해 대국민 에너지 소통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