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환율 상승에 10월 수출입물가 넉달째 오름세

수출입물가 전월比 0.5%씩 올라
국제유가 하락에도 수입물가 상승
김수정 경기일보 기자 2023-11-15 16:26:50
지난 1일 부산항 신선대부두가 분주한 모습이다. /연합뉴스

지난달 수출입물가가 원·달러 환율 상승 등에 영향을 받아 모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2023년 10월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는 140.38(2015년=100)로, 9월(139.71)보다 0.5% 상승하며 4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특히, 중간재와 자본재, 소비재가 상승을 이끌었다. 원재료의 경우 광산품(-0.5%)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0.4% 내렸지만, 중간재는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3.0%), 화학제품(1.1%) 등이 오르며 0.9% 상승했다. 자본재와 소비재도 각각 0.8%, 1.0% 올랐다.

한은 측은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광산품이 내렸으나,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화학제품 등이 오르며 전월 대비 0.5%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두바이유는 배럴당 89.75달러로, 9월(93.25달러)에 비해 3.8% 하락했다.

환율 요인을 제외한 계약통화 기준 수입물가는 전월보다 0.9% 떨어졌다.

지난달 수출물가지수는 120.17로, 9월보다 0.5% 오르며 4개월 연속 상승했다. 원·달러 환율이 상승한 가운데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등이 오른 영향이다. 지난달 원·달러 평균 환율은 1350.69원으로, 전월(1329.47원) 대비 1.6% 상승했다.

품목별로 보면 농림수산품 수출물가는 전월 대비 0.7% 하락했다. 공산품은 석탄 및 석유제품(-4.9%), 제1차 금속제품(-0.8%)이 내렸지만,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3.6%), 운송장비(1.7%) 등이 상승하며 0.5% 올랐다.

환율 요인을 제외한 계약통화 기준 수출물가는 9월보다 1% 하락했다.

※이 기사는 <경기일보> 기사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