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환율 상승에 10월 수출입물가 넉달째 오름세

수출입물가 전월比 0.5%씩 올라
국제유가 하락에도 수입물가 상승
김수정 경기일보 기자 2023-11-15 16:26:50
지난 1일 부산항 신선대부두가 분주한 모습이다. /연합뉴스

지난달 수출입물가가 원·달러 환율 상승 등에 영향을 받아 모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2023년 10월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는 140.38(2015년=100)로, 9월(139.71)보다 0.5% 상승하며 4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특히, 중간재와 자본재, 소비재가 상승을 이끌었다. 원재료의 경우 광산품(-0.5%)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0.4% 내렸지만, 중간재는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3.0%), 화학제품(1.1%) 등이 오르며 0.9% 상승했다. 자본재와 소비재도 각각 0.8%, 1.0% 올랐다.

한은 측은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광산품이 내렸으나,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화학제품 등이 오르며 전월 대비 0.5%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두바이유는 배럴당 89.75달러로, 9월(93.25달러)에 비해 3.8% 하락했다.

환율 요인을 제외한 계약통화 기준 수입물가는 전월보다 0.9% 떨어졌다.

지난달 수출물가지수는 120.17로, 9월보다 0.5% 오르며 4개월 연속 상승했다. 원·달러 환율이 상승한 가운데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등이 오른 영향이다. 지난달 원·달러 평균 환율은 1350.69원으로, 전월(1329.47원) 대비 1.6% 상승했다.

품목별로 보면 농림수산품 수출물가는 전월 대비 0.7% 하락했다. 공산품은 석탄 및 석유제품(-4.9%), 제1차 금속제품(-0.8%)이 내렸지만,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3.6%), 운송장비(1.7%) 등이 상승하며 0.5% 올랐다.

환율 요인을 제외한 계약통화 기준 수출물가는 9월보다 1% 하락했다.

※이 기사는 <경기일보> 기사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