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설 물가 고공행진...온가족 외식도 ‘부담’

지난달 과일 물가 28.1%↑…최근 사과 도매가격 1년 전의 두배
전체 평균 물가 32개월 연속 상회…수산물·축산물 가격은 안정세
이승욱 기자 2024-02-04 16:07:47
설 명절을 앞둔 4일 오전 서울 동대문구 경동시장이 물건을 사러 온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연합뉴스

최근 외식·가공식품 물가는 둔화세를 보이고 있으나 설을 앞두고 농산물 가격이 오르면서 물가안정에 부담이 커지고 있다. 

외식 물가 상승률은 최근 둔화세를 보이기는 하지만 30개월 넘게 전체 평균을 웃돌아 온 가족이 모이는 설에 외식 부담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농·축·수산물 소비자물가지수는 122.71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8.0% 올랐다. 

이는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인 2.8%의 2.8배 수준이다. 

농·축·수산물 중에서도 과일 물가 상승률이 28.1%로 전체 평균의 10배가 넘었다. 

과일 품목별 상승률은 사과가 56.8%를 기록했고 복숭아 48.1%, 배 41.2%, 귤 39.8%, 감 39.7% 순이다. 

곡물과 채소 등의 농산물 물가 상승률도 각각 9.2%와 8.8%로 높았다. 

특히 파 상승률은 60.8%로 전체 농·축·수산물 품목 중 가장 높았다. 

최근 농산물 가격은 더 높아지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2일 기준 사과(후지·상품)의 도매가격(도매시장 내 상회 판매가)은 10㎏에 9만240원으로 1년 전 대비 98.4% 올라 거의 두배 수준이다. 

배(신고·상품) 도매가격도 15㎏에 8만900원으로 66.7% 올랐다. 

사과·배의 높은 가격에 대체제로 꼽히는 귤·단감 가격도 크게 올랐다. 

감귤 도매가격은 5㎏에 3만6천780원으로 1년 전보다 121.1% 올랐고 단감은 10㎏에 6만1천500원으로 92.7% 상승했다. 

다만 수산물과 축산물 가격은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명태(냉동·중품)는 20㎏에 4만6천20원으로 10.6% 하락했고 갈치(중급)도 1㎏에 1만2천75원으로 12.8% 내렸다. 

이번 설 명절에는 가족 외식 부담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달 외식 물가 상승률은 4.3%로 지난해 11월 이후 두 달 연속 둔화했지만, 전체 평균의 1.5배 수준이다. 외식 물가 상승률은 2021년 6월부터 32개월 연속 전체 평균을 웃돌고 있다. 

지난달 외식 세부 품목 39개 중 84.6%인 33개 상승률이 전체 평균보다 높다. 

피자가 9.9%로 가장 높고 이어 죽(외식)(6.9%), 비빔밥(6.9%), 오리고기(외식)(6.6%), 냉면(6.3%), 김밥(6.3%), 도시락(6.2%), 떡볶이(6.1%), 햄버거(6.0%), 설렁탕(5.5%), 맥주(외식)(5.5%), 해장국(5.5%), 치킨(5.4%) 등 순이었다. 

정부는 설 성수기 사과, 배, 소고기, 명태 등 성수품 16개 품목을 평상시의 1.5배 수준으로 확대 공급하고 설 성수품 가격 할인을 위해 예산 84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