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3.5% 동결…9연속 동결

물가·가계부채에 조기인하 ‘신중’
미국 연준의 ‘인하 신중론’도 영향
올해 성장률 2.1% 전망 유지
이창원 기자 2024-02-22 10:14:36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22일 다시 기준금리를 연 3.50%로 묶고 통화 긴축 기조를 이어갔다. 

지난해 2월부터 이어진 9회 연속 동결이다. 

22일 한은은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열고 현재 연 3.50%인 기준금리를 그대로 동결하기로 했다.  

앞서 한은은 2021년 8월 기준금리를 0.5%에서 0.75%로 0.25%포인트 올린 이후 10차례에 걸쳐 3%포인트 인상하다가, 2월부터는 동결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이번에도 한은이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8%를 기록하면서 2%대로 내려왔지만, 목표인 2%까지 충분히 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가계부채 증가세도 꺾였다고 보기 어렵다.  

또 사상 최고치인 한미 금리 격차(2%포인트)를 고려할 때, 외국인 자금 유출과 환율 불안을 감수하고 한은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보다 앞서 금리를 낮출 이유도 없다. 총선을 앞두고 쏟아지는 개발 공약 등 영향으로 부동산 시장이 다시 들썩이는 점도 한은의 조기 금리 인하를 막는 요인이다. 

미국은 ‘6월 금리 인하’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21일(현지 시각) 미 연준이 공개한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따르면 위원들은 대체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목표 수준(2%)을 향해 계속 둔화하고 있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기준금리 인하는 적절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와함께 한국은행은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2.1%로 유지했다. 

한은은 이날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로 2.1%를 제시했다. 지난해 11월 전망과 같은 수치다. 

앞서 한은은 올해 전망치를 지난 2022년 11월(2.3%) 이후 지난해 2월(2.4%), 5월(2.3%), 8월(2.2%), 11월(2.1%) 등으로 점차 수정해왔다. 

한은 전망치 2.1%는 국제통화기금(IMF)이 제시한 2.3%뿐 아니라 정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한국개발연구원(KDI) 등이 동일하게 제시한 2.2%보다 낮은 수준이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