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트 르네상스] <50> 작곡가 박시춘과 손목인
2025-04-24
그 뒤를 이어 ‘짝사랑’ ‘애수의 소야곡’ ‘눈물젖은 두만강’ ‘꿈꾸는 백마강’ ‘나그네 설움’ ‘번지없는 주막’ ‘대지의 항구’ ‘찔레꽃’ ‘낙화유수’ 등 오늘날까지도 인구(人口)에 회자하는 주옥같은 트로트 명곡들이 쉼 없이 출현했다.
일제강점기라는 암울한 시대 상황에서 탄생한 이 가요들은 애상과 비련의 정조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그래서 남녀의 사랑과 이별을 노래하면서도 망국의 설움과 실향의 아픔 그리고 광복의 열망을 은유적으로 표현했다.
한마디로 말하면 겨레의 정한(情恨)과 나그네의 서정을 토로한 것이었다. 나라를 빼앗기고 고향을 떠나야했던 식민지 민중으로서 나그네 아닌 사람이 누가 있었을까.
그 시절 트로트 가요 중에서도 ‘나그네 설움’이나 ‘번지없는 주막’은 제목에서부터 상실과 방랑의 정서가 흠뻑 배어있다.
‘오늘도 걷는다마는 정처없는 이 발길, 지나온 자국마다 눈물 고였다.... 낯익은 거리다마는 이국보다 차워라, 가야 할 지평선엔 태양도 없어…’
백년설이 부른 ‘나그네 설움’(고려성 작사, 이재호 작곡)은 그야말로 지향없이 표류하는 식민지 조선인들의 풍정(風情)이다.
‘문패도 번지수도 없는 주막에, 궂은비 내리는 이 밤이 애절구려…’
역시 백년설의 노래인 ‘번지없는 주막’도 ‘나그네 설움’과 함께 망국민의 유랑가로 당대 최고의 유행가였다.
능수버들 태질하는 비 내리는 봄밤의 주막집 창가, 아주까리 초롱밑에 마주 앉아 이별주를 따르는 나그네의 수심(愁心)도 깊었다. 여기서 ‘나그네’는 떠돌이 망국민이요, ‘주막’은 잃어버린 조국의 상징이기도 했다.
‘죽장에 삿갓 쓰고 방랑 삼천리, 흰구름 뜬 고개 넘어 가는 객이 누구냐…’
1950년대 중반 명국환이 부른 ‘방랑시인 김삿갓’은 조선시대 전설적인 풍류가객 김삿갓의 파란만장한 삶과 행운유수의 여정을 소재로 삼았다. 광복을 맞이했지만 극도의 사회적 혼란과 동족상잔의 참화까지 겪은 민중들의 피폐한 현실과 여전히 방황할 수밖에 없는 나그네적 심리를 대변한 노래였다.
‘이리가면 고향이요 저리가면 타향인데, 이정표 없는 거리 헤매도는 삼거리 길, 이리 갈까 저리 갈까 차라리 돌아갈까…’
부산 출신 신인 가수 김상진의 첫 히트곡인 ‘이정표 없는 거리’는 1970년대 초반의 정치적 소용돌이에 갈 길을 잃은 민심을 표랑하는 나그네의 심사로 변주하면서 국민적 공감을 얻었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암울한 시대적 탄식을 토로한 것이었다.
1971년 4월에 실시한 제7대 대통령 선거는 3선 개헌과 유신정권의 물꼬를 트는 우리 정치사의 일대 분수령이었다. 우리 선거풍토에도 부정적인 지형도를 양산한 변곡점이기도 했다.
경상도 출신 박정희 후보와 전라도 출신 김대중 후보가 박빙의 대결을 벌이면서 영호남 지역 감정이 생성된 것이었다. 여당을 지지하는 농촌과 야당을 선호하는 도시의 선거풍토로 이른바 ‘여촌야도’의 형국도 파생되었다.
게다가 선거를 앞두고 ‘호남 푸대접론’이니 ‘충청 무대접론’이니 하는 지역정서론과 어수선한 정치적 상황을 함축하면서 노래가 크게 유행한 것이다.
그로부터 반세기가 지난 오늘 우리의 삶과 정치에는 이정표가 있을까. 물질적 풍요 속의 정신적 피폐, 민주적 남용 속의 도덕적 실종….
우리가 머무는 주막에는 문패가 있을까, 번지가 있을까. 우리는 또 어디로 가고 있는가?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