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국내 사외이사 평균 연봉 8천만원…최고는 삼성전자

ESG평가원, 100대 상장사 작년 사업보고서 분석
이창원 기자 2024-04-17 15:47:58
지난해 국내 100대 상장사 가운데 사외이사의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곳은 삼성전자로 나타났다. 

17일 한국ESG평가원이 2023년 사업보고서 제출을 완료한 100대 상장사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해당 기업들의 사외이사 평균 연봉은 8천52만원이었다. 

7천921만원이었던 전년 대비 1.7% 늘었다. 

상장사별로 가장 많은 연봉을 지급한 기업은 삼성전자로 2억300만원이었다. 삼성전자는 3년 연속 사외이사 최고 연봉 기록을 이어갔다. 

삼성전자에 이어 2∼5위는 SK그룹이 차지했다. SK텔레콤이 1억6천340만원, SK이노베이션이 1억6천100만원, SK하이닉스가 1억5천514만원, SK㈜ 1억5천240만원을 지급했다. 

다음으로 삼성물산(1억4천600만원), 포스코홀딩스(1억1천486만원), 현대자동차(1억1천457만원), 네이버(1억1천100만원), NH투자증권(1억1천40만원) 등의 순이었다. 

이 밖에 LG전자(1억425만원), ㈜LG(1억400만원), SKC(1억300만원), 에쓰오일(1억125만원) 등이 ‘1억원 클럽에 이름을 올렸다. 

최저 연봉은 2천800만원을 지급한 기업은행이었다. 

연봉 인상률 최고는 카카오로 46%를 기록했고, 감소율 최고는 한미약품으로 -38%였다. 

최근 경영이 악화한 신세계[004170]와 LG생활건강도 사외이사 연봉을 20% 안팎으로 삭감했다. 

그룹별로는 SK그룹이 평균 1억3천588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삼성그룹(1억478만원), LG그룹(9천178만원), 포스코그룹(9천149만원), 현대차그룹(8천692만원), 한화그룹(8천566만원) 등의 순이었다. 

가장 낮은 연봉을 지급하는 그룹은 DB그룹으로 4천869만원을 기록했다. 

아울러 한국ESG평가원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등급이 높을수록 사외이사의 연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 등급 3개 사의 사외이사 평균연봉은 1억5천51만원이었던 반면, C+ 등급 5개 사의 평균 연봉은 5천245만원이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