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서울 전셋값 오르니…갱신계약 늘고 보증금도 올라

10건 중 6건, 보증금 올려서 재계약
권태욱 기자 2024-04-22 10:10:09
서울 시내 한 부동산에 붙은 매매·전세 관련 안내문. /연합뉴스

올해 서울 아파트 전세 계약 중 갱신계약 비중이 1년새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들어 지난 17일까지 신고된 서울 아파트 전세 계약 3만6천247건 가운데 갱신계약이 1만2천604건으로 전체의 35%를 차지했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전세 계약 중 갱신계약이 27%를 차지했던 것과 비교하면 갱신 계약 비율이 8%포인트 늘었다. 

월간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에는 갱신계약 비율이 매달 25∼29%로 30%를 밑돌았지만, 올해 들어서는 1월 31%, 2월 39%, 3월 35%, 4월 36% 등으로 30%를 넘어섰다. 

갱신계약 비중이 커진 이유는 아파트 전셋값이 상승하자 기존 세입자들이 새로운 전셋집으로 갈아타는 것보다 기존 전셋집에 계속 사는 것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해 6월부터 지난달까지 10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셋값이 오르면서 갱신계약 중 전세보증금을 기존 계약보다 올린 증액 갱신의 비중도 지난해보다 커졌다. 

올해 체결된 서울 아파트 전세 갱신계약 1만2천604건 가운데 보증금을 올린 계약은 7천154건으로 전체의 57%를 차지했다. 작년(46%)에 비해 11%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반면 보증금을 낮춘 계약은 지난해 41%를 차지했지만 올해에는 29%에 그쳤고, 보증금을 동결한 계약은 15%로 작년(14%)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보증금을 올린 증액 갱신이 10건 가운데 6건꼴로 늘어난 반면, 보증금을 내린 감액 갱신은 10건 가운데 3건꼴로 줄어든 셈이다. 

증액 갱신 비중은 지난 2022년까지만 해도 90%에 달했지만, 2022년 하반기부터 작년 상반기까지 전셋값이 떨어지면서 지난해에는 40%대로 떨어졌다. 

하지만 작년 하반기 상승세로 돌아선 전셋값이 최근까지 꾸준히 오르면서 증액 갱신 비중이 올해 작년 11월 50%, 12월 52%, 올해 1월 54%, 2∼4월 58% 등으로 다시 늘어나는 추세다. 

구별로 보면 종로구(71%), 서대문구(68%), 마포구(65%), 영등포구(63%), 양천구(62%) 등의 증액 갱신 비중이 컸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지난해까지만 해도 전셋값 하락의 영향으로 증액 갱신이 줄고 감액 갱신은 늘었지만, 최근 전셋값이 상승하면서 오른 시세에 맞춰 전세 보증금을 올리는 사례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