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창간1주년 여론조사]③ 중도 45.4% “尹정부, ‘서민경제’ 정책 최우선 해야”

서민경제>중기·소상공인>R&D>부동산 순 응답
“부동산 정책 1순위” 지역별‧연령대별 인식 차이
이승욱 기자 2024-08-22 06:35:32
지난달 집중 호우 등 기상 악화 영향으로 채소를 비롯한 농산물 중심으로 생산자물가가 올랐다. 지난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7월 생산자물가지수는 6월(119.23)보다 0.3% 높은 119.56(2020년 수준 100)로 집계됐다. 전월 대비 등락률은 앞서 6월(-0.016%) 7개월 만에 처음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한 달 만에 반등했다. 사진은 21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장 보는 시민들 모습. 연합뉴스

전반적인 경기 침체와 고물가, 고금리 등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집권 3년 차를 맞은 윤석열 정부가 가장 우선 시 해야 할 정책은 물가 관리 등 ‘서민경제 관련 정책’이라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자신의 정치 이념을 ‘중도’라고 판단하는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가 집권 후반기를 맞은 현 정부의 최우선 과제라고 꼽아 눈길을 끌었다. 

경제 성장의 허리 역할을 하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경제 정책 추진을 요구하는 응답 비율도 상대적으로 높았고, 현 정부에서 예산 축소 등 홀대 논란이 일었던 R&D(연구·개발) 지원을 강조하는 응답자들도 많았다. 

22일 종합경제매체 ‘한양경제’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지난 10일부터 12일까지 사흘간 전국 만 18세 이상 3천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창간 1주년 국민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집권 후반기를 맞은 현 정부가 가장 최우선 해야 하는 경제 정책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절반 가까운 45.4%가 ‘물가 등 서민경제 관련 정책’이라고 꼽았다. 

이어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정책’이라고 답한 응답은 14.9%로 나타났다. 이외 △R&D 지원 정책(9.2%) △부동산 관련 정책(7.8%) △수출기업 지원 정책(5.5%) △금리·환율 정책(6.3%) △주식시장 활성화 정책(5.2%) 등은 오차범위(+- 1.8%포인트) 내에서 엇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서민경제 관련 정책’을 현 정부의 최우선 정책으로 꼽은 응답자는 지역별, 연령대별, 성별, 정당 지지도, 이념 성향 등과 구분 없이 가장 많았다. 서민들의 삶이 팍팍하고 경제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현 상황에 대한 위기감이 국민 인식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양경제의 의뢰로 조원씨앤아이가 2024년 8월 10~12일 3일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ARS 여론조사(휴대전화 100% RDD 방식, 성, 연령대, 지역별 비례할당 무작위 추출)를 실시한 결과이며, 표본수는 3천5명(총 통화시도 12만2천685명, 응답률 2.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1.8%포인트다. 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하면 된다

■ ‘중도 이념 성향’ 45.4% “서민정책 1순위”


특히 자신의 정치적 이념 성향을 ‘중도’(45.4%)나 ‘잘 모름’(43%)이라고 선택한 응답자 중 ‘서민경제 관련 정책’을 최우선 경제 정책 과제로 꼽았다. 

자신의 정치적 이념 성향을 진보라고 답한 응답자 중 57.2%는 ‘서민경제 관련 정책’을 꼽았고, 보수라고 답한 응답자 역시 가장 많은 34.8%가 서민경제 관련 정책을 꼽았으나 그 비중은 줄었다. 
 
또 남성(41.4%)보다는 여성(49.4%) 응답자가 느끼는 ‘서민경제 관련 정책’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는 정도가 강한 것으로 조사됐다. 

‘R&D 지원 정책’을 현 정부의 최우선 경제 정책 과제로 인식하는 비율은 서울(13.3%)과 충남(10.4%), 울산(12.6%)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현 정부 들어 업계의 ‘R&D 예산 나눠먹기’를 비판하며 예산 축소에 나섰지만, 과학기술계는 국가경쟁력 약화 우려 등 ‘홀대 정책’이라며 반발해왔다. 

‘부동산 관련 정책’ 응답자들의 지역별, 연령대별 특성도 눈길을 끄는 대목이다. ‘부동산 관련 정책’을 1순위로 비율은 경남 12%, 강원 11.3%, 부산 10.5%, 대구와 경북 각 10.1%로 타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수도권인 서울은 7%, 경기 8.7%, 인천은 4.1% 수준이었다. 

연령대별로는 40대(4.9%)와 50대(6.8%)로 응답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18~29세 9.1%, 30대 8.3%, 60대 8.5%, 70세 이상 9.9%로 조사됐다. 18~29세와 30대는 미래 주거 안정화가 중요한 세대라는 점에서, 60대 이상 세대는 자산 가치로서 집값 안정화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중요한 경제 정책 과제로 인식하는 경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는 한양경제의 의뢰로 조원씨앤아이가 2024년 8월 10~12일 3일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ARS 여론조사(휴대전화 100% RDD 방식, 성, 연령대, 지역별 비례할당 무작위 추출)를 실시한 결과이며, 표본수는 3천5명(총 통화시도 12만2천685명, 응답률 2.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1.8%포인트다. 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하면 된다.

※ 가중치 부여 방식: [림가중]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값 부여(2024년 7월말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기준)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