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1인가구 2037년 40% 돌파…4집 중 3집 1∼2인 가구

'부부끼리' 가구도 2052년 23%…통계청 장래가구추계
연합뉴스 2024-09-12 13:52:25

앞으로 13년 뒤 전체 가구에서 1인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40%를 돌파할 것으로 예측됐다.

1인가구 증가세는 이전 추계보다 가팔라졌으며 특히 고령층을 중심으로 늘어날 것으로 관측됐다. 통계층은 12일 이런 내용의 '장래가구추계: 2022∼2052년'를 발표했다.

◇ 1인가구, 1천만 수준까지 계속 는다

결혼이 줄고 고령화로 독거노인이 늘어나는 영향 등으로 그간 급격하게 늘어났던 1인가구는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전망이다.

1인가구는 2022년 738만9천가구에서 30년 뒤 2052년 962만가구까지 200만 이상 불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연평균 7만4천가구씩 증가한다.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34.1% 수준이었지만 2032년 39.2%로 5%포인트(p) 이상 늘어난다.

그러다 2037년 40.1%로 40%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됐다. 이 시점 2인가구 비중(33.0%)을 합치면 네 집 가운데 세 집꼴로 혼자 살거나 둘이 사는 셈이다.

1인가구 비중은 2042년부터 2052년까지 10년간은 40.8%에서 41.3%로 늘어나는 데 그칠 전망이다. 인구 감소의 영향이다.

1인가구 증가 속도는 2년 전 '장래가구추계: 2020∼2050년'보다 가팔라졌다. 2050년 기준 1인가구 비중은 직전 추계에서 39.6%였지만 이번 추계에서는 41.2%로 나타났다.

특히 독거노인을 중심으로 늘어난다. 2022년에는 1인가구 중 20대 비중이 18.7%로 가장 많고, 이어 30대 17.2%, 60대 16.6% 순으로 컸다.
이에 비해 2052년에는 1인가구 중 80세 이상이 23.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65세 이상 비중은 2022년 26.0%에서 2052년 51.6%로 늘어난다. 전체 1인가구의 절반 이상이 노인가구인 것이다.

◇ 핵가족화 지속…4인가구 비중 30년간 14.1→6.7%

1∼2인가구로 넓히면 그 비중은 2022년 62.7%에서 2052년 76.8%로 증가한다. 2인가구는 연평균 6만9천가구씩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2인가구에는 부부 또는 형제끼리 살거나 부모 중 한 사람과 자녀가 사는 경우, 비친족가구 등이 포함된다.

대가족은 점차 사라진다. 4인 또는 5인 이상 가구는 2052년까지 연평균 각각 5만가구, 1만8천가구씩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4인가구 비중은 2022년 14.1%에서 2052년 6.7% 수준으로 줄어든다.

2052년까지 1인가구(7.2%p)와 2인가구(6.9%p) 비중이 많이 증가하는 반면 4인가구 비중(-7.4%p)이 가장 많이 줄어든다.
가구 유형별로는 1인가구뿐만 부부끼리 사는 가구도 많이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다만 결혼이 늘어서라기보다는 기대수명 증가 등으로 인해 고령층을 중심으로 부부가구가 늘어나는 것으로 예측됐다.

부부가구 비중은 2022년 17.3%에서 2052년 22.8%로 증가한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젊은 층의 부부가구는 줄어드는 반면에 고령층에서 부부가구가 늘어난다"며 "남성의 기대수명이 여성과 격차가 줄어드는 등 영향"이라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