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삼성전자, 美실리콘밸리서 'AI 미래 통신' 포럼 개최

‘실리콘밸리 미래 통신 서밋’ 개최…‘AI 시대의 미래 통신’ 주제
통신 사업자, 제조사, 정부 기관, 학계 리더 포함 80여명 초청
삼성전자, AI 기술 활용 차세대 통신 기술 글로벌 조직 참여 중
하재인 기자 2024-11-07 15:04:06
삼성전자 ‘실리콘밸리 미래 통신 서밋’ 포스터.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현지시간 6일 미국 실리콘밸리 마운틴뷰에서 ‘AI 시대의 미래 통신’을 주제로 ‘실리콘밸리 미래 통신 서밋’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통신 분야에 AI 기술 적용 확대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AI 기술을 적용한 통신 시스템의 비전과 기술 개발 성과를 공유하는 것이 목적이다. 앞서 3월 이동통신표준화기구는 5G-어드밴스드 표준을 발표했다.

행사에는 전 세계 주요 통신 사업자, 제조자, 정부 기관 및 학계 리더 등 80여명의 전문가들이 참석해 AI 기반 통신 혁명을 위한 연구 방향성과 기술을 논의했다.

현지시간 6일 미국 실리콘밸리 마운틴뷰에서 진행된 ‘실리콘밸리 미래 통신 서밋’ 행사장 전경. 삼성전자

■ AI와 무선 통신 기술 융합에 의한 미래 통신 기술 연구 방향성 제시

삼성전자는 이번 행사를 통해 AI와 무선 통신 기술의 융합을 통한 미래 통신 기술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행사는 업계 전문가들의 ‘차세대 이동통신의 미래’에 대한 기조 강연으로 시작했다. 이후 AI 내재화 통신, 지속가능성, 미래 무선을 주도하는 혁신의 3개 세션에서 초청 강연이 이뤄졌다.

‘AI 내재화 통신’ 세션에서는 AI를 통신 전 영역에 확대 적용하는 기술을 통해 기대되는 효과, 예상되는 신규 서비스, 서비스 실현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에 대해 논의했다.

‘지속가능성’ 세션에서는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효율 개선 등 지속가능한 6G 통신 시스템을 위해 필요한 주요 기술과 연구 방향성을 논의했다.

‘미래 무선을 주도하는 혁신’ 세션에서는 5G와 차별화된 서비스 및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6G 네트워크 구조 혁신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참가자들은 각 세션마다 진행되는 패널 토의에서 각 주제에 대한 질의응답과 토론을 이어갔다.

기술 시연 세션에서는 삼성전자와 파트너사들이 공동으로 개발한 AI RAN 기술을 소개했다. AI RAN 기술은 기지국 통신 장비에 AI를 적용해 주파수와 에너지 효율 향상 등 주요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기지국 품질 최적화 기술이다.

현지시간 6일 미국 실리콘밸리 마운틴뷰에서 진행된 ‘실리콘밸리 미래 통신 서밋’에서 기술 시연을 하고 있다. 삼성전자

■ 삼성전자, AI 기술 활용한 차세대 통신 기술 글로벌 영향력 확대

현재 삼성전자는 AI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통신 기술의 글로벌 영향력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올해 2월 AI-RAN 얼라이언스 창립 멤버로 참여한 삼성전자는 현재 이사회와 AI on RAN 분과의 부의장직을 맡고 있다. 7월에는 ITU 전파통신부문 6G 표준화 그룹 의장에 진출했다. 최근에는 미국의 넥스트 G 얼라이언스 이사회의 부의장직 재선임에 성공했다. 8월에는 일본 이동통신 사업자 NTT 도코모와 차세대 통신 분야 AI 기술을 공동 연구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AI-RAN 얼라이언스는 AI와 RAN의 기술 융합을 추구하는 글로벌 연합체로 6G 기술 연구와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ITU는 UN 산하 국제전기통신엽합으로 전파통신 규약 및 표준화를 담당한다. 넥스트 G 얼라이언스는 6G 기술 리더십 확보를 위해 활동 중인 미국통신산업협회 주도 민간 단체다.

박정호 삼성전자 삼성리서치 차세대통신연구센터 상무는 “5G 도입 이후 통신 시장 등은 AI 등 혁신 기술의 도입 및 에너지 효율성 개선 등 성능 향상 뿐 아니라 사용자 경험 개선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이번 미래 통신 서밋을 시작으로 업계와 학계 리더들이 협력할 수 있는 장을 만들고 지속적인 AI와 무선통신 기술 융합 연구를 통해 사용자 경험 가치를 높여가는 등 통신 기술 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