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오리온, 과도한 가족경영의 그늘

입사 3년 만에 전무이사, 공정성 논란
가족이라는 이름 아래의 특혜
법의 심판을 받은 과거, 재발되는 논란
직원들의 박탈감과 대기업의 사회적 책무
하재인 기자 2024-12-23 16:16:36

오리온 그룹 담철곤 회장이 입사 3년 만에 장남 담서원 씨를 전무로 승진시키는 인사를 단행하면서, 가족기업의 관행에 대한 공정성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담서원 씨는 뉴욕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베이징대학교에서 MBA를 취득한 후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서 근무하다가 2021년 오리온에 입사했다. 이후 약 1년 6개월 만에 상무로 승진하였고, 이번에 전무로 초고속 승진하였다.

이는 가족기업의 특성상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있지만, 한국 제과업계를 대표하는 대기업으로서 오리온의 이러한 인사 정책이 조직 내 공정성을 저해하고, 일반 직원 및 사회적 신뢰를 훼손하는 사례로 지적받고 있다.

오리온 담서원 전무. 오리온

입사 3년 만에 전무이사, 공정성 논란

오리온은 한국을 대표하는 제과기업으로, 2022년 기준 매출 2조 8732억 원과 영업이익 4667억 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글로벌 제과산업 전문지 캔디인더스트리(Candy Industry)가 발표한 "2022 제과업계 글로벌 Top 100"에서 오리온은 세계 12위, 아시아 1위를 차지했다.

이러한 성과는 오리온이 국내외에서 견고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최근의 인사 논란은 이 같은 대표기업으로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에 대한 사회적 기대를 저버리는 행보로 평가받고 있다.

가족이라는 이름 아래의 특혜

가족기업에서 종종 발생하는 친족 승진 사례는 이번 담서원 씨의 초고속 승진과 같은 방식으로 나타난다. 이는 경영의 연속성과 신속한 의사결정을 장점으로 삼을 수 있지만, 공정성을 중시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다.

담서원 씨의 입사 후 경력과 승진 속도를 살펴보면, 일반적인 승진 체계와 비교해 현저히 빠른 속도라는 점이 눈에 띈다. 이러한 사례는 조직 내 능력 중심의 평가와 공정한 기회 제공이라는 가치를 위협하며, 직원들의 사기를 저하시킬 위험이 있다.

오리온의 사례는 삼성과 현대와 같은 다른 가족기업들과 비교될 수 있다. 삼성은 능력주의를 강조하며, 일정한 경력과 평가를 통해 주요 직책으로의 승진을 진행한다. 반면 오리온은 투명성과 공정성을 상대적으로 결여하고 있어 사회적 비판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사례는 한국 기업 전반의 인사 시스템에 경종을 울리는 사례로 작용할 수 있다.

담철곤 오리온 회장. 연합뉴스

법의 심판을 받은 과거, 재발되는 논란

담철곤 회장은 과거 300억 원에 달하는 횡령 혐의로 징역 3년, 집행유예 5년을 선고받았고, 별장 공사비 명목으로 약 200억 원의 법인 자금을 유용한 혐의로도 논란을 빚었다. 이러한 법적 제재를 받은 전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가족경영 방식은 기업 투명성과 윤리 경영에 대한 의문을 다시금 불러일으키고 있다.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는 경영진의 신뢰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례는 투자자와 소비자들에게 오리온의 신뢰도를 저하시킬 위험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투명성은 현대 기업 경영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투자자와 소비자는 기업의 투명성을 기준으로 기업을 평가하며, 이는 주가와 시장 내 위치에도 영향을 미친다. 오리온이 계속해서 가족경영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극복하지 못한다면, 장기적으로 기업의 신뢰와 경쟁력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오리온 제주용암수 공장. 오리온

직원들의 박탈감과 대기업의 사회적 책무

조직 내 공정성이 결여될 경우, 일반 직원들은 성장 기회를 박탈당했다는 박탈감을 느끼게 된다. 이는 조직 내 사기 저하와 생산성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오리온의 사례는 특히 젊은 세대 직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공정성과 성과 중심의 조직문화를 선호하는 젊은 세대는 가족경영의 한계를 받아들이기 어렵다. 공정성을 중시하는 현대 사회에서 가족경영은 사회적 불신을 초래할 수 있다.대기업으로서 오리온은 단순히 이익 창출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점에서 윤리적 딜레마에 직면해 있다. 소비자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여부를 기준으로 제품과 브랜드를 선택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어, 오리온의 신뢰 회복은 필수적이다.

오리온은 공정하고 투명한 인사 시스템을 구축하여 가족경영의 부정적 이미지를 극복해야 한다. 능력과 성과 중심의 평가 체계를 도입하고, 직원들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구조적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단기적으로는 내부 갈등과 조직 개편에 따른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신뢰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