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LG家 장녀의 버티기 전략

공익법인 신뢰 무너뜨린 불법거래 의혹
공익법인 사유화도 논란
경기도, LG그룹 사태해결 나서야
‘버티기’ 아닌 ‘책임지는 모습’ 필요
하재인 기자 2025-02-12 09:58:14

LG가(家)의 일원이자 공익법인의 수장인 구연경 LG복지재단 이사장과 그의 남편 윤관 BRV 대표가 잇따른 논란에도 불구하고 자리를 고수하려는 모습이 국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구 이사장은 故 구본무 회장의 장녀라는 이름이 무색할 정도로 공익법인의 신뢰를 훼손하고 있고, 사위 윤관은 "나는 미국인이다"라며 세금 납부를 거부하는 소송을 벌이는 등 ‘버티기 전략’으로 일관하고 있다.

구연경 LG복지재단 이사장. KBS화면캡쳐(1.23)

공익법인 신뢰 무너뜨린 불법거래 의혹

구연경 이사장은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코스닥 상장사 메지온의 주식을 거래한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다. 그는 투자 발표 전에 약 12억 원을 투자해 3만 주를 매입했고, 이후 주가 상승으로 인해 약 20억 원 이상의 시세 차익을 거뒀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 과정에서 남편 윤관이 내부 정보를 제공했다는 혐의가 제기됐다.

공익법인 대표로서 가져야 할 도덕성과 투명성을 저버린 것이다. 특히 논란이 커지자 문제의 주식을 LG복지재단에 기부하려 했다고 해명했는데, 법조계에서는 “이는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하려는 시도”라는 평가다. LG복지재단이라는 공익법인이 특정 개인의 도피처나 위기 모면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한 꼴이다.

구연경 부부의 첫 재판은 다음 달 18일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13부(부장판사 김상연) 심리로 시작된다. 검찰에 따르면 구 대표는 남편 윤관으로부터 코스닥 상장사 A 기업의 유상증자 참여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이용해 주식을 매수해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이는 자본시장법상 명백한 위법 행위에 해당한다.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10월 이들의 자본시장법 위반 의혹을 검찰에 통보했고, 한 시민단체가 이들을 고발하기도 했다. 검찰은 같은 해 10월 30일 구 대표의 서울 용산구 한남동 자택과 경기 평택 소재 LG복지재단을 압수수색한 후 지난달 23일 두 사람을 불구속 기소했다.

LG복지재단 등기부등본. 대법원 자료

공익법인 사유화 논란

LG복지재단 법인등기부 등본에 따르면, 구연경을 포함해 총 7명의 이사가 등재되어 있다. 이 중 5명은 구 대표의 선친인 고(故) 구본무 LG그룹 선대회장이 재단 대표이사를 맡던 2015년부터 10년째 자리를 지키고 있다. 공익법인의 이사라면 투명성과 공정성을 지켜야 하지만, 이들은 사실상 거수기 역할에 머무르며 내부 감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본지는 10일, LG복지재단의 신영수, 윤경희, 한준호 이사에게 직접 접촉을 시도하고 질의서를 보냈지만, 모두 응답을 거부했다. 구연경 대표의 미공개 주식투자 논란이 불거진 지 6개월 뒤인 지난 9월, 본지는 이사들에게 연락을 취해 봤지만, 1명만이 "이런 사항에 대해 의견을 얘기할 여유가 없다"는 답변뿐이었다. 이는 공익법인의 운영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조차 의문을 품게 만드는 대목이다. 결국 이사회 전체가 구연경 이사장의 방패막이 역할을 하면서, LG복지재단은 ‘LG’라는 이름을 쓰면서 구 이사장의 개인적 이익을 위한 조직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LG복지재단 홈페이지

경기도-LG그룹, 결단 필요할 때

LG복지재단은 원래 LG그룹의 사회공헌 정신을 상징하는 조직이었다. 하지만 현재의 운영 방식과 지도부의 행태를 보면, 공익법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공익법인은 기업과 사회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그 운영이 투명하지 않다면 오히려 기업의 사회적 신뢰를 해치는 결과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

구연경 이사장이 계속해서 자리를 유지한다면 LG복지재단의 신뢰는 회복될 수 없다. 그녀가 공익법인의 대표로서 신뢰를 훼손한 만큼, 이사장직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다. 이는 단순히 한 개인의 도덕성 문제가 아니라, 공익법인의 정상화를 위한 필수적인 조치이기 때문이다.

LG복지재단이 LG그룹과 공식적으로는 별개 조직이라고 하지만, 여전히 ‘LG’라는 브랜드를 사용하고 있는 이상, LG그룹의 사회적 책임에서도 자유로울 수 없다. 경기도는 LG복지재단의 정상화를 위해 LG그룹과 협력해 결단을 내려야 한다. 구연경 대표의 사퇴가 가장 핵심적인 조치라는 게 공익법인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구연경 LG복지재단 대표이사가 19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저신장아동 성장호르몬제 기증식’에서 한 어린이에게 기증서를 전달하고 있다.

‘버티기’ 아닌 ‘책임지는 모습’ 필요

지금 LG복지재단과 관련된 논란은 단순한 도덕성 문제를 넘어, 우리 사회에서 공익법인이 어떻게 운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구연경 이사장과 윤관 대표는 더 이상 버티기가 아니라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또한, LG복지재단 이사진도 공익법인의 정상화를 위해 스스로 물러나야 한다.

LG복지재단 이사진도 공익성을 되찾기 위한 결단을 내려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LG복지재단뿐만 아니라, 故 구본무 회장이 구축한 ‘착한 기업’ 이미지도 훼손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