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3기 신도시 최초 인천계양 A2·A3블 본청약 시작
2024-09-20
정부의 공공주택 공급 확대 정책 등의 영향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부채 규모가 지난해에만 7조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3기 신도시에 이어 서울 서초 서리풀지구 등에 신규 택지를 조성하는 등 공공 주도 주택 확대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어 관련 사업을 담당하는 LH의 부채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27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에 따르면 LH의 지난해 말 기준 부채는 160조1천억원으로, 전년도(152조9천억원)보다 7조2천억원 늘어났다.
LH의 총부채는 2021년 138조9천억원, 2022년 146조6천억원, 2023년 152조9천억원 등으로 매년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총부채 가운데 이자를 부담하는 부채는 97조4천억원으로, 전년(88조3천억원)보다 9조1천억원이 늘어났다.
회계상 잡힌 부채(분양선수금, 임차인 보증금)의 경우 1조9천억원이 줄어든 62조7천억원을 기록했다.
이자부담부채가 늘어난 이뉴는 임대주택 건설을 위한 주택도시기금 3조8천억원, 3기 신도시 건설 등 사업비 자금 충당을 위한 사채 발행 잔액 5조3천억원이 각각 늘었기 때문이다.
LH는 3기 신도시와 14개 국가산단 개발 외에도 서리풀지구, 고양대곡 역세권을 포함한 신규택지 조성 사업, 신축매입임대 5만가구 확보 등의 사업도 추진 중이어서 당분간 부채 증가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토지 보상이나 대지 조성 등 대규모 사업비의 선 투자가 필요하고, 회수까지는 장기간이 걸리는 사업 구조를 갖고 있어서다.
특히 임대주택의 경우 정부 지원율이 실제 사업비의 60%대에 불과해 나머지는 LH의 부채로 남게 된다.
LH는 “민간 참여 공공주택 건설 사업을 확대하고, 임대주택 건설·매입과 관련한 정부 지원 단가를 현실화하기 위해 협의를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달 19일 지방 악성 미분양 해소 대책으로 LH가 3천 가구를 매입해 임대주택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이번 LH의 지방 악성 미분양 주택 매입이 LH 재정건전성에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