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포스코, 짙어지는 ‘파업 그림자’…또다시 교섭 결렬

노조, 중노위에 조정 신청…쟁의 행위 찬반 투표 진행
노조 “사측 제시안은 말장난” vs 포스코 “성실히 교섭”
김수정 경기일보 기자 2023-10-06 16:06:52
포스코노동조합이 지난달 6일 오후 전남 광양제철소 앞에서 쟁의대책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하고 있다. 연합뉴스

포스코 노사의 올해 임금·단체협약(임단협)이 다시 한번 결렬되면서 파업의 그림자가 짙어졌다. 노조는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하고 쟁의 행위에 대한 조합원 찬반 투표를 진행할 계획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노총 금속노련 포스코 노동조합(포스코 노조)은 지난 4일과 5일 진행된 교섭에서도 사측과 합의점을 찾지 못해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노조는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하고 전 조합원을 대상으로 쟁의 행위에 대한 찬반 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만약 노조가 쟁의권을 확보한 후 파업을 단행하면 포스코는 55년 역사상 첫 파업을 맞게 된다.

사측은 이번 교섭에서 △기본임금 16만2천원(기본급 9만2천원 포함) 인상 △일시금 600만원(주식 400만원, 현금 150만원, 지역사랑 상품권 50만원) 지급 △격주 주 4일제 시행 △복리후생 재설계 관련 노사합동 TF 운영 등을 제시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노조 측은 사측의 제시안이 사실상 말장난에 불과하다는 입장이다. 노조 관계자는 “사측이 기본임금 16만2천원 인상을 제시했다고 하는데, 이는 자연승급분을 포함한 것”이라며 “(포스코가) 지난해부터 반 연봉제로 바뀌었기 때문에 작년과 올해 입사한 직원들은 호봉이 없다”고 말했다.

또한 “사측에서 자사주 400만원을 지급한다고 하는데, 우리는 현금으로 달라고 한 적이 없다”며 “우리가 자사주를 요구했던 건 주인 정신을 갖기 위함”이라고 전했다.

사측이 주 4일제 시행을 제시한 것에 대해서는 “근로기준법에 있는 선택근로제와 같은 것인데, 주 4일제라고 말만 바꾼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포스코 측은 “교섭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새로운 안건을 제시했으나 이견이 좁혀지지 않았다”며 “기본임금 인상 같은 경우는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의 차이”라고 말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지난번 교섭이 결렬된 이후에는 김학동 부회장이 직접 소통을 했고, 현재도 교섭 대표자가 노조 사무실에 방문해 교섭을 재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며 “(교섭이 재개되면) 교섭에 성실히 임하겠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한편, 노조는 앞서 △기본급 13.1% 인상 △정년 1년 연장 △조합원 대상 자사주 100주 지급 등을 요구했으나, ‘20차 임금단체교섭회의’에서도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이에 노조는 지난달 6일 임시 대의원회의를 통해 쟁의 발생 안건을 가결하고, 6일과 7일 양일간 쟁대위 출범식을 진행했다.

이후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과 김성호 노조위원장의 면담을 통해 교섭을 재개했지만, 이번에도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이 기사는 경기일보 기사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