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소비자원 “LED스탠드, 빛 깜빡임·색 구현성 제각각”

이연우 경기일보 기자 2023-11-28 13:53:32
/한국소비자원 제공

학습·사무용, 인테리어용 등으로 활용되는 LED 스탠드가 제품마다 빛 깜빡임이나 색 구현성 등이 다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일부 제품은 외부 전자파에 이상 작동해 개선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한국소비자원은 LED 스탠드를 판매하고 있는 주요 브랜드의 12개 제품을 대상으로 지난 4~5월 시험평가를 진행, 그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이때 대상 제품은 ▲넥소버 NXL-3000 ▲노브랜드 PL-2200WH ▲듀플렉스 DP-031LS ▲레토 LLS-01 ▲루미앤 LL-A013 ▲무아스 MLW5 ▲반디 T500 ▲브리츠 BE-LED50 ▲삼성전자 SI-GM9C10A1A2D ▲삼정 SL-2300 ▲프리즘 PL-2990BK ▲필립스 9290032130 등이다.

먼저 소비자원은 광원에서 나오는 빛이 40㎝ 떨어진 아래 표면을 비출 때 중심의 조도를 시험평가한 결과, 레토, 반디, 브리츠, 삼성전자, 삼정, 필립스 등 6개 제품이 조도가 1천500㏓ 이하로 한국산업표준 최대 권장기준(600~1천500㏓)을 충족했다고 설명했다.

또 같은 조건에서 조도가 균일한지 살펴보니 레토와 반디 등 2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고, 노브랜드와 프리즘 등 2개 제품은 ‘보통’ 수준이었다. 나머지 8개 제품은 ‘양호’했다.

이와 함께 노브랜드 등 10개 제품은 빛 깜빡임(플리커)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품질·성능이 좋은 축에 속했다. 플리커 현상이 심한 조명에 장시간 노출되면 눈의 피로감이 높아져 두통이 유발될 수 있는데, 비교적 안전하단 의미다.

아울러 LED 스탠드에서 나오는 빛이 자연광과 유사해 물체 본연의 색을 잘 구현하는지를 확인하는 연색지수는 듀플렉스, 브리츠, 필립스 등 3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넥소버, 노브랜드 등 9개 제품은 연색지수가 80 이상으로 ‘양호’한 수준이었다.

반면 소비전력(W)당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광효율(에너지효율)은 무아스 제품이 82㏓/W로 가장 높았고, 프리즘 제품이 42㏓/W로 가장 낮았다. 제품 간 최대 1.9배 차이가 있는 셈이다.

이어 소비자원은 외부 전자파의 영향에도 LED 스탠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전자파 내성을 확인했다. 그 결과 듀플렉스, 삼정 등 2개 제품은 전원이 꺼지는 등 이상 현상이 발생해 전자파적합성 기준에 부적합했고, 소비자원이 결과를 전달하자 모두 개선조치 의견을 남겼다.

끝으로 소비자원이 인증마크·인증번호 등 법정 표시사항을 확인한 결과, 반디, 브리츠 등 2개 제품은 전파법에 따른 표시(인증번호)가 잘못 표기 및 미표기돼 있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역시 개선조치를 회신한 상태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앞으로도 소비자의 합리적인 소비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조명제품에 대한 안전성 및 품질비교 정보를 진행하고, 또 친환경 소비문화 확산을 위한 환경성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는 <경기일보> 기사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