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작년 30세 이상 9%가 당뇨병 진단…용산구 치료율 최저

질병관리청, 지자체별 당뇨병 진단 경험과 치료율 현황 발표
"균형 잡힌 식사, 규칙적 운동, 금연·금주로 당뇨병 예방"
연합뉴스 2023-12-04 14:01:10
/질병관리청 제공 

지난해 30세 이상 인구의 9%가량이 당뇨병을 진단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당뇨병 진단을 받은 이들 중 치료를 받는 비율은 서울 용산구가 가장 낮았다.

질병관리청은 성인 약 23만명을 대상으로 매년 하는 지역사회건강조사를 분석한 지방자치단체별 당뇨병 진단 경험률 현황을 4일 공개했다.

당뇨병 진단 경험률은 의사에게서 당뇨병을 진단받은 30세 이상 인구 비율이다. 이번 조사는 면접을 통한 설문으로 이뤄져 과소 혹은 과다 추계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우리나라 30세 이상 국민의 당뇨병 진단 경험률(시·군·구 중앙값)은 지난해 9.1%로, 한 해 전보다 0.3%포인트 늘었다.

당뇨병 진단 경험률은 2017년 8.1%에서 2018년 7.9%로 한 차례 감소했을 뿐 최근 10년간 꾸준히 상승 추세였다.

당뇨병 진단 경험이 있는 이들의 전체 치료율은 지난해 91.8%였다. 이 비율은 2018년부터 90%를 웃돌아 대체로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다.

2020∼2022년 평균 시군구별 당뇨병 진단 경험자의 치료율은 서울 용산구(59.5%)에서 가장 낮았다. 그다음으로 대전 대덕구(66.4%) 서울 동대문구(68.7%) 등의 순으로 낮았다.

치료율이 낮은 시군구 10곳 중 동대문구(14.4명), 충북 증평군(13.8명), 용산구(12.3명), 대전 서구(11.8명) 등 4곳은 10만명당 당뇨병 사망률이 전국 평균(9.4명)보다 높았다.

치료율은 부산 강서구(96.7%)가 가장 높았고, 인천 남동구·경북 성주군(각 96.6%), 경남 거창군(96.4%) 등이 뒤를 이었다.

제주의 경우 2021년만 해도 치료율 96.6%로 전체 17개 시도 중 1위였지만, 지난해에는 16위(88.2%)로 내려앉았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당뇨병은 작년 기준 우리나라 사망원인 8위로, 조기사망과 장애에 따른 질병 부담이 높은 질환"이라며 "각 지자체에서는 지역주민의 당뇨병 예방·관리를 위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질병청은 ▲ 적정 체중·허리둘레 유지 ▲ 규칙적인 운동 ▲ 균형 잡힌 식단 ▲ 금연·금주 등 좋은 생활 습관 유지 ▲ 정기적 검진 등을 통해 당뇨병을 예방·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oho@yna.co.kr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8월 중간은 하지로부터 약 50여일이 지난 시점이다. 따라서 그만큼 해의 고도와 열기도 낮아진다. 아침과
가을의 전령사
한여름이 되면 그 동안의 강렬한 햇볕으로 대지가 충분히 달궈져 그 열기가 더 이상 땅으로 흡수되지 못
‘열대야(熱帶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