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美 S&P500지수 4,800선 돌파 2년만에 사상최고치

연준 금리인하 기대에 지난해 24% 반등 덕…기술주가 증시 견인
"침체위험·고금리 장기화 우려는 여전"…JP모건, 올해 주가 하락 전망도
연합뉴스 2024-01-20 07:21:07
뉴욕증권거래소 한 트레이더가 주식 시세를 나타내는 모니터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1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의 대표 주가지수 중 하나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가 2년 만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58.87포인트(1.23%) 상승한 4,839.81에 거래를 마쳐 종가 기준 직전 최고점을 넘어섰다.

S&P 500 지수는 2022년 1월 3일(종가 기준 4,796.56) 고점을 찍고 급락한 뒤 2년 넘게 4,800선을 회복하지 못해왔다.

이날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95.19포인트(1.05%) 오른 37,863.80에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55.32포인트(1.70%) 오른 15,310.97에 장을 마쳤다. S&P 500 지수는 미 증시에 상장된 약 500개 대형주 가격 움직임을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산출하는 미 증시 대표지수 중 하나다.

우량주 30개 종목의 구성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나 나스닥시장 상장 종목만으로 구성된 나스닥 지수와 비교해 미 증시 전반의 상황을 잘 반영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S&P 500 지수는 고물가에 대응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과 경기둔화 우려 여파로 2022년 들어 19%나 하락한 바 있다.

그러나 지난해 들어 '매그니피센트 7(애플, 아마존닷컴,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플랫폼, 테슬라, 엔비디아)' 등 대형 기술주의 반등에 힘입어 한 해 동안 지수가 24%나 급등하면서 지수 회복의 발판을 마련했다.

다만, 새해 들어 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이 후퇴하고 중동 지역 지정학적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2년 전 고점을 돌파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날 주가도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엔비디아 등 주요 기술주들이 반등하면서 전체 증시에 회복 동력을 제공했다.

커먼웰스 파이낸셜 네트워크의 톰 로그 전략가는 "증시가 최고치를 경신한다고 해서 잠재적인 침체 위험이나 고금리 장기화에 대한 우려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월가의 낙관론을 유지하는 데는 보탬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이날 증시 랠리 분위기 속에 미 최대 은행인 JP모건은 여전히 올해 미 증시에 대한 비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JP모건의 두브라브코 라코스-부자스 애널리스트는 이날 배포한 투자 노트에서 기업의 실적 전망이 밝지 않다며 올해 연말 S&P 500 지수 전망치를 4,200으로 내다봤다. 이는 현 수준에서 12% 넘게 하락한 수치다.

pan@yna.co.kr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