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중견기업‧지역대학 공동기술개발’ 414억원 지원
2024-05-01

정부가 올해 소재부품 기술 개발에 1조1410억원을 투자한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는 1차 소재부품 기술 신규 과제를 4일 공고한다고 밝혔다. 이번 과제의 규모는 2451억원이고, 2‧3차 신규 과제는 오는 3월과 5월 각각 추가 공고할 예정이다.
올해 소재부품 기술 개발 관련 전체 투자 규모는 1조1410억원이고, 신규 과제 예산에는 역대 최대 규모인 4274억원이 배정됐다.
공고 과제는 첨단기술 초격차, 공급망 안정화, 탄소중립 등을 중심으로 기획됐고, 산업부는 우선 반도체, 디스플레이, 항공·우주 등의 첨단산업 초격차 기술에 694억원을 신규 투자하기로 했다.
지원대상은 고용량 차량용 배터리 충전을 위한 질화갈륨 반도체 공정·소자·모듈 개발, 확장현실(XR)용 비접촉방식 촉감 구현 소재 개발, 경량 내열 타이타늄 알루미나이드계 항공기 엔진용 압축기‧저압 터빈 블레이드 기술 개발 등 신규과제 35개다.
중국 등 특정국 의존도가 높은 185개 공급망 안정품목 기술 개발에도 586억원을 신규 투자한다. 이는 지난해 신규 투자 금액(101억원) 대비 5배 이상 확대된 규모다.
희토류 대체 전장용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전기차 구동모터용 폐희토자석 재활용 공정 기술, 바이오 다이올 핵심 소재 및 응용제품 개발 등 29개 과제가 대표적이다.
글로벌 환경규제에 대응한 소재부품 단위의 탄소중립 기술 개발에는 신규로 545억원이 투입된다.
앞서 산업부는 철강, 시멘트 등 주력 산업의 탄소중립 공정 기술 개발을 지원해왔다.
올해는 소재부품 기술 개발 사업에도 탄소중립 분야를 신설해 사용후 스크랩 재활용 기반 알루미늄 합금 소재화 기술, 포집 이산화탄소 활용 그린 섬유 소재 개발 등 29개 과제를 지원한다.
또 산업부는 민간 투자를 유치한 기업에 투자연계형 기술 개발 명목으로 626억원을 지원한다.
산업부는 “신규 공고된 121개 과제 중 111개 과제를 100억원 이상의 대형통합형 과제로 기획했다”라고 말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