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늘어나는 채무상환 부담…금융권 “2분기 가계·기업 신용위험 커진다”

이창원 기자 2024-04-19 13:51:03
/한국은행 자료 

올해 2분기 들어 기업과 가계의 신용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금융기관들이 전반적으로 채무 상환 부담 등이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1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에 따르면 국내 은행들이 예상한 2분기 신용위험지수(종합)는 37로 전 분기 32보다 5포인트 상향됐다. 

한국은행은 신용위험과 금융기관 대출태도, 대출수요에 대한 평가 등을 가중 평균을 내 지수(-100~+100)로 산출한다. 해당 지수가 +(양)면 신용위험 및 대출수요가 증가하거나 대출태도가 완화될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는 의미다. 

대출 주체별로 신용위험지수 변화를 살펴보면 대기업 8, 가계 39로 전 분기보다 각각 5포인트, 6포인트씩 급등했다. 다만 중소기업은 33으로 전 분기와 동일했다. 

한국은행 측은 “기업의 신용위험은 재무구조가 취약한 업종이 중소기업 중심으로 높은 수준이 지속될 것”이라며 “가계 신용위험 역시 금리 상승에 따른 채무상환 부담 등이 늘면서 전 분기보다 커질 것을 예상된다”고 밝혔다.

대출수요지수는 12로 전 분기 24보다 12포인트 내려갔다. 이는 대출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보다 높지만 그 정도는 줄었다. 

가계의 주택대출은 31에서 11로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관측이 낮아졌고, 일반대출은 –8에서 –17로 수요가 줄 것이라는 예상이 더 높아졌다. 

중소기업은 33에서 31로, 대기업은 11에서 6으로 대출 수요 증가세 전망이 약해졌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7~19일 국내은행 18곳, 상호저축은행 26곳, 신용카드 8곳, 생명보험사 10곳, 상호금융조합 142곳 등 금융기관 204곳의 여신 총괄 책임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