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지난해 종부세 4조2천억원 중 70%는 ‘상위 1%’가 냈다…평균 835억원 부동산 보유

양부남 “종부세 폐지, 소수 상위 계층에 감세 혜택 집중”
연합뉴스 2024-07-09 10:16:36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4조2천억원에 달하는 종합부동산세의 약 70%는 납부자 상위 1%가 부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납부 세액은 평균 5억8천만원가량이며 보유한 부동산의 공시가격은 평균 835억원이었다. 

9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부남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종부세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과 법인을 포함해 납부자 상위 1%에 해당하는 4천951명은 종부세로 2조8천824억원을 냈다. 

이는 전체 종부세 결정세액 4조1천951억원의 68.7%에 해당한다. 종부세 납부 상위 1%가 전체 종부세의 70%가량을 부담했다는 의미다.

상위 1%가 평균적으로 낸 세금은 납부 인원당 5억8천만원이었다.

이들이 보유한 부동산은 공시가격 기준 총 413조5천272억원이었다. 납부 인원당 평균 835억2천만원가량의 부동산을 보유한 셈이다. 

상위 0.1%인 495명으로 좁히면 이들은 평균 36억5천만원을 세금으로 납부했다. 총납부 규모는 1조8천58억원으로 전체 종부세 결정세액의 43.0%를 차지했다. 

상위 10%로 넓히면 4만9천519명은 종부세로 평균 7천493만원을 냈다. 총납부 규모는 전체 세액의 88.5%에 해당하는 3조7천106억원이었다. 

납부 세액 하위 20%인 9만9천38명이 낸 종부세 규모는 총 75억원이었다. 전체 결정세액의 0.2%에 불과한 규모로 납부 인원당 평균 8만원가량을 냈다.

양 의원은 이를 바탕으로 종부세를 폐지하면 자산이 많은 소수 상위 계층에 감세 혜택이 집중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양 의원은 “종부세 폐지 또는 완화는 가뜩이나 어려운 지방 재정에 직격탄이 될 것”이라며 “종부세와 관련해 신중한 접근과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며 지방 재정 확충 대책부터 먼저 논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