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올해 하반기에 15조3천억원을 발주한다고 17일 밝혔다.
이에 올해 공사·용역 발주 규모는 18조2천억원으로 확정했다. 2월 LH가 세운 연초 계획 17조1천억원보다 1조1천억원 늘어난 규모다.
하반기 공공주택 건설공사 분야에는 9조4천억원을 발주한다. 이번 계획에는 남양주왕숙, 고양창릉, 부천대장 등 3기 신도시 5천가구의 건설공사를 반영했다.
발주계획 규모는 유형별로 공사 부문 14조7천억원과 용역 부문 6천억원이다.
주요 공사 부문은 △종합심사낙찰제 10조2천억원(77건) △간이형종합심사제 1조3천억원(65건) △적격심사제 2조2천억원(504건) △턴키, CM 등 기타 1조원(12건)이다.
용역 부문은 △종합심사 4천억원(57건) △적격심사 1천억원(243건) △기타 1천억원(53건)이다.
공사 공종별로는 건축·토목공사가 전체 발주 금액의 약 82%를 차지한다. △건축공사 10조6천억원(222건) △토목공사 1조9천억원(49건) △전기·통신·소방공사 1조4천억원(279건) △조경공사 3천억원(30건) △기타공사 5천억원(78건) 이다.
용역 부문은 설계·감리 등 기술용역이 4천억원(243건)으로 하반기 용역 발주의 66%를 차지한다. 그 외 일반용역은 2천억원(110건)이다.
LH는 월별·분기별로 발주 실적을 관리하고 공공주택 건설공사 발주 일정을 집중 관리해 주택공급 확대 정책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투자집행 활성화에도 기여할 방침이다.
이한준 LH 사장은 “이번에 조정된 발주계획을 통해 연내 3기 신도시 1만가구를 포함한 공공주택 5만가구 착공을 차질 없이 이행할 계획”이라며 “내년에는 공공주택 6만가구 착공을 목표로 하고 일부는 내년 상반기에 착공할 수 있도록 올해 하반기부터 발주에 착수하는 등 신속한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