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재건축 총회 한번에 1억7천만원 ..."전자투표 도입해야"

강동구 D조합 1억7천700만원, 성북구 E조합 1억4천200만원
강남구 F조합은 1억3천800만원, 서대문구 G조합 1억3천만원
하재인 기자 2024-08-14 10:33:03

최근 3년간 서울 재개발·재건축 조합의 해산총회에서 조합원 85%가 서면 투표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조합이 외부 인력을 고용해 서면의결서를 받았고, 총회 한 번에 1억7천만원을 쓴 조합도 있었다.

14일 서울시가 더불어민주당 김영호 의원에게 제출한 '재개발·재건축 조합 해산총회 현황'에 따르면 2021년 7월∼2024년 6월 해산총회를 연 조합은 67개이며 조합원 수는 3만6천318명이다. 이 중 76%인 2만7천750명이 해산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했다.

의결권을 행사한 조합원 중에선 15%만 총회 현장에 직접 참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85%는 서면으로 투표했다. 조합 의사 결정이 사실상 서면을 통해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서면의결권 행사 비율은 강동구 고덕동 A재건축 단지의 경우 98%, 양천구 신정동 B재개발 단지 96%, 서초구 C재건축 단지는 96%에 이르렀다.

현행 도시정비법은 조합 총회 의결 때 조합원의 현장 참여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서면으로도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장 출석만으로는 총회 성립을 위한 최소한의 요건인 의사정족수와 안건 통과를 위한 의결정족수를 충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생업이 있거나 총회 일정에 맞추기 어려운 조합원들이 서면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문제는 서면투표가 관행으로 굳어지면서 총회 개최 비용이 과도해지고, 조작·왜곡 논란 또한 끊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서울 재개발·재개발 34개 조합이 단 한 번의 해산총회에 투입한 용역비는 평균 4천665만원이었다. 해산총회 OS 용역에 쓴 돈이 억 단위를 넘어가는 곳도 있었다.

강동구 고덕동 D재건축 조합은 1억7천700만원, 성북구 길음동 E재개발 조합은 1억4천200만원을 썼다. 강남구 개포동 F재건축 조합은 1억3천800만원, 서대문구 북아현동 G재개발 조합 역시 1억3천만원을 투입했다.

조합 정기총회가 매년 열리고 수시로 열리는 임시총회까지 고려하면 매년 조합원들에게 돌아가야 할 조합 돈이 OS 용역비로 나간 셈이다.

불투명한 조합의 의사 결정은 재건축·재개발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꼽히기에 국회에서는 조합 총회를 온라인으로 열고, 투표도 온라인으로 해 직접 참여율을 높이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국토교통부도 '8·8 주택공급 확대방안'을 통해 온라인 총회·투표 등 전자의결 방식을 허용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민주당 김영호 의원은 지난 13일 조합 총회 서면의결 방식을 완전히 폐지하고, 전자적 방식을 도입하는 내용의 도시정비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김 의원은 "소수의 입맛에 맞게 조합원 다수 의사를 왜곡·조작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서면의결 방식은 정비사업 전반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갈등만 조장하는 구시대적 방식"이라며 "이제는 그만해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