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한국은행, 기준 금리 역대 최장 13연속 동결

“수도권 집값·부채 증가세 지속”…올해 성장률 2.4%p로 하향
이현정 기자 2024-08-22 14:55:09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2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한국은행이 22일 기준금리를 연 3.5%로 다시 동결하고 통화 긴축 기조를 지속했다.

최근 집값과 가계대출이 증가하는 가운데 기준금리까지 낮추면, 부동산과 금융시장의 불안이 경기 회복보다 클 수 있다는 판단으로 분석된다.

역대 최대 수준인 미국과의 금리차(2%p)를 감안하며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향후 금리 인하 방향을 살펴보고 인하하는 것이 안정적이라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이날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3.5%로 또 동결했다.

금통위는 회의 의결문에서 동결 배경에 대해 “수도권 주택가격과 가계부채 증가세가 지속되고 외환시장의 경계감도 남아있다”라며 “정부의 부동산 대책과 글로벌 위험회피 심리 변화가 수도권 주택가격과 가계부채, 외환시장 등 금융 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성장과 물가와 관련해서 “물가 상승률이 목표 수준인 2%로 수렴할 것이라는 확신이 좀 더 커진 가운데 국내 경제 성장세가 완만히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국내 경제에 대해서는 “수출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소비도 점차 회복되면서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1분기 중 큰 폭 성장(전분기대비 1.3%)에 일시적 요인의 영향이 예상보다 컸다”라며 올해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5%에서 2.4%로 0.1%포인트(p) 하향했다.

물가는 지난해 급등한 국제유가·농산물가격의 기저효과와 낮은 수요 압력 등에 따라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한은과 금통위는 이날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예상치를 2.6%에서 2.5%로 낮췄다.

앞서 2020년 3월 금통위는 코로나19 충격으로 경기 침체가 예상되자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p 낮추는 이른바 ‘빅컷’(1.25→0.75%)에 나섰고, 같은 해 5월 추가 인하했다.

이후 아홉 번의 동결을 거쳐 2021년 8월 0.25%p 올리면서 통화정책의 키를 긴축 쪽으로 틀었다. 이어 같은 해 11월과 2022년 1·4·5·7·8·10·11월, 2023년 1월까지 0.25%p씩 여덟 차례, 0.5%p 두 차례 등 모두 3%p 높아졌다.

금리 인상 기조는 지난해 2월 동결로 중단됐다. 이후 13차례 연속 동결로 3.5% 기준금리가 작년 1월 13일부터 이날까지 1년 7개월 9일 동안 유지되고 있다. 다음 금통위 시점인 10월 11일까지 3.5%는 약 1년 9개월간 이어될 예정이다.

이는 한은 설립 이래 횟수와 기간 모두 역대 최장 동결 기록이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