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지난해 역대 최대 친환경차 수출 등을 기록하며 2년 연속으로 양호한 실적을 달성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지난해 친환경차 수출이 전년 대비 3% 증가한 70만7,853대로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고 14일 밝혔다. 이전 최대 수출 실적인 2023년을 넘어선 결과다.
지난해 친환경차 수출 실적은 약 27만대를 수출한 2020년 대비 160% 증가했다. 전체 수출에서 친환경차가 차지하는 비중도 17%에서 32% 이상으로 커졌다. 같은 기간 하이브리드차 수출은 44.6% 증가한 39만7,200대에 달했다. 전체 친환경차 수출 중 56.1%에 해당하는 비중이다.
현대차∙기아 친환경차 중 최다 수출 모델은 9만3,547대를 수출한 현대차의 ‘투싼 하이브리드’다. 이어 ‘코나 하이브리드’ 7만353대, ‘아이오닉 5’ 6만8,227대 순으로 수출이 이뤄졌다. 기아 친환경차 수출의 경우 ‘니로 하이브리드’ 6만9,545대, ‘EV6’ 4만2,488대, ‘스포티지 하이브리드’ 3만8,297대 순이었다.

■ 2년 연속 수출 200만대∙수출액 500억달러 달성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전체 수출 대수 218만698대와 수출액 533억6,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수출 대수와 수출액 모두 전년 대비 감소했지만 2년 연속으로 수출 200만대와 수출액 500억달러를 달성했다.
현대차∙기아가 기록한 지난해 수출액은 국내 자동차 전체 수출액 708억달러 중 75.4%에 해당하는 규모다. 지난해 한국 전체 수출액 6,838억달러 중에서는 7.8%에 해당한다.
차종별로는 SUV가 150만6,287대를 수출해 전체 수출 대수 중 69.1%를 차지했다. 여기에 코나, 투싼, 스포티지 등의 모델도 수출 실적에 기여했다.
현대차∙기아의 최다 수출 모델은 23만1,069대를 기록한 현대차의 ‘아반떼’가 차지했다. 이어 ‘코나’ 22만2,292대, ‘투싼’ 15만1,171대 순으로 수출이 이뤄졌다. 기아 수출 모델은 ‘스포티지’ 13만6,533대, ‘모닝’ 11만4,453대, ‘니로’ 11만4,430대 순이었다.
지역별 수출 비중은 미국∙캐나다∙멕시코 등 북미 55.6%, 유럽 18.7%, 아시아∙태평양 9.1%, 중동∙아프리카 9.1%, 중남미 5.2% 등이었다.
현재 현대차∙기아의 누적 수출 대수는 1975년부터 지금까지 약 5,600만대를 기록하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해까지 누적 3,206만3,984대를 수출했다. 2004년 1,000만대를 시작으로 2013년 2,000만대, 2023년 3,000만대를 넘었다. 기아는 지난해까지 누적 2,409만6,355대를 수출했다. 기아의 누적 수출 대수는 2011년 1,000만대, 2020년 2,000만대를 넘었다.

■ 브랜드 경쟁력 강화∙국내 투자 확대 등으로 수출 경쟁력 확보
향후 현대차∙기아는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의 판매 믹스 개선, 지속적인 제품∙브랜드 경쟁력 강화, 신흥시장 공략, 국내 투자 확대 등으로 수출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실제로 지난해 현대차∙기아는 기아 광명 EVO Plant 가동을 시작했다. 올해 하반기에는 화성 EVO Plant를 가동할 예정이다. 내년 상반기에는 울산 EV 전용공장을 가동한다.
여기에 글로벌 고금리∙저성장 기조 확산, 보호무역주의 강화, 업체 간 경쟁 심화 등 시장 변화는 수요에 기반한 유연 생산∙판매 체계를 확립해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전기차 수요 성장세 둔화에 대해서는 하이브리드 라인업 강화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준중형과 중형 차급 중심으로 적용했던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소형, 대형, 럭셔리 차급까지 확대한다.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 TMED-Ⅱ 도입도 준비한다.
이에 더해 전기차에 대한 포트폴리오 다양화 전략도 진행한다. 올해 현대차는 대형 전기차 SUV 아이오닉9을 출시할 예정이다. 기아는 SUV 전기차 EV3, EV5, 세단형 전기차 EV4 등을 신규 출시한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녹로지 않은 대내외 경영 환경 속에서도 친환경차 수출이 역대 기록을 경신하는 등 2년 연속으로 양호한 실적을 달성했다”며 “앞으로도 본원적 제품∙브랜드 경쟁력 강화, 유연한 생산∙판매 체제 구축, 국내 투자 확대 등을 통해 수출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