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는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에서 ‘2025 LG 올레드·QNED TV 신제품 브리핑’을 진행했다고 11일 밝혔다. 백선필 TV상품기획담당을 포함한 관계자들이 이번 행사에 참여했다.
2025년형 TV 신제품에는 버튼 하나로 이용할 수 있는 AI 기능을 탑재했다. 밝기부터 색상까지 화질을 향상시키는 신기술 적용도 이뤄졌다. 여기에 세계 최초로 4K·144Hz 영상을 손실·지연 없이 전송하는 ‘진정한 무선 AV’ 솔루션과 독자 스마트 TV 플랫폼 ‘webOS’도 업그레이드했다.
LG전자는 프리미엄 제품인 올레드 TV와 프리미엄 LCD TV인 QNED TV를 통한 ‘듀얼 트랙 전략’으로 글로벌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리더십을 지속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LG전자는 지난해 출하량 기준 52.4%의 점유율로 OLED TV 시장에서 12녀 연속 1위를 기록했다. 2500달러 이상 프리미엄 TV 시장에서는 지난해 출하량 기준 31.1% 점유율을 기록해 2023년 19.1% 대비 12% 성장했다.

■ 리모컨에 AI 전용 버튼 탑재해 AI 기능 접근성 향상
2025년형 LG 올레드·QNED TV는 리모컨에 AI 전용 버튼을 탑재해 고객의 AI 기능 접근성을 향상했다.
매직 리모컨의 AI 버튼을 사용하면 어떤 화면에서도 AI 기능에 접근할 수 있다. TV가 꺼져 있는 상태에서도 AI 버튼으로 TV를 켜면 AI가 사용 이력과 시청 환경을 분석해 검색 키워드와 시청 프로그램 등을 추천한다. 여기에 ‘보이스 ID’ 기능을 통해 목소리로 사용자를 구분해 계정을 전환하고 개인별 최적화된 콘텐츠와 화질모드를 제공한다.
TV 시청 중 AI 버튼을 짧게 누르면 ‘AI 컨시어지’ 모드로 진입한다. AI가 시간대별 사용 패턴을 기반으로 고객이 맞춤형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키워드를 제공한다.
AI 버튼을 길게 누르면 음성인식이 활성화된다. 질문이나 요청을 말하면 생성형 AI인 AI 에이전트가 맥락을 이해하고 ‘AI 서치’, ‘AI 챗봇’, ‘AI 맞춤 화면/사운드 모드’와 같은 AI 기능을 작동시킨다.
AI 서치는 LLM 기반으로 고객의 발화를 이해하고 의도를 추론해 검색해 주는 기능이다. AI 챗봇은 TV에 발생한 간단한 문제를 서비스센터에 전화하지 않고 해결할 수 있게 돕는다. AI 맟줌 화면/사운드 모드는 고객이 제시되는 예시 중 가장 마음에 드는 화면과 소리를 고를 경우 AI가 약 16억개 화면 모드와 4000만개 사운드 모드 중 가장 적합한 모드를 제안해 주는 기능이다.

■ 올레드 디스플레이 탑재·신기술 적용 QNED 등 화질 강화
2025년 신제품은 글로벌 인증기관 UL 솔루션으로부터 화면 밝기나 주변 조도에 상관없이 일관된 검은색을 표현할 때 부여되는 ‘퍼펙트 블랙’ 인증을 업계 최초로 받은 올레드 디스플레이를 탑재했다.
2025년형 LG 올레드 에보는 디스플레이 알고리즘과 유기 화합물 적층 구조를 바꾼 새로운 밝기 향상 기술을 적용했다. 이에 최대 밝기가 일반 올레드 TV 대비 3배에 이른다.
업계 유일한 OLED 전용 화질/음질 AI 프로세서 ‘알파11’은 올레드 에보의 화질과 음질을 더 강화했다. 알파11은 TV 화면을 픽셀 단위로 세분화해 화질을 업스케일링하고 밝기를 조정해 균일한 화질을 보여준다.
게이밍 기능도 강화했다. LG 올레드 TV는 업계 최초로 4K 콘텐츠를 최대 165Hz 가변주사율로 표현한다. 여기에 엔비디아의 ‘지싱크 호환’과 AMD의 ‘프리싱크 프리미엄’ 등 그래픽 기술도 적용했다.
프리미엄 LCD 라인업인 2025년형 LG QNED TV도 신기술로 화질을 강화했다. 기존 퀀텀닷 소자 외에 LG만의 새로운 고색재현 기술인 '다이내믹 QNED 컬러 솔루션'으로 색 재현율을 기존 대비 향상시켰다.
새로운 LG QNED TV 전 제품은 글로벌 시험·인증기관 인터텍으로부터 원본 영상의 풍부한 색을 왜곡 없이 표현하는지를 측정하는 컬러볼륨 100% 인증을 획득했다.

■ 올레드에 이어 QNED에도 ‘진정한 무선 AV 솔루션’ 탑재
2023년 세계 최초로 선보인 LG의 ‘진정한 무선 AV 솔루션’은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최대 4K·144Hz 영상을 손실과 지연 없이 전송한다. LG 무선 TV는 전원을 제외한 불필요한 연결선을 없앴다. 기존 TV 본체에 연결했던 콘솔기기와 셋톱박스 등 주변기기를 별도의 ‘제로 커넥트 박스’에 연결할 수도 있다.
LG전자의 무선 전송 솔루션은 무선 TV 시장 진입 이후 매년 발전 중이다. 지난해에는 4K 해상도 기준 최대 주사율이 기존 120Hz에서 144Hz로 높아졌다. 올해는 올레드 에보에 이어 QNED 에보까지 확대한다.
LG전자의 독자 스마트 TV 플랫폼 ‘webOS’의 경우 올해는 게임 전용 허브 ‘게이밍 포털’을 추가해 여러 게임 앱에 쉽게 접근하고 탐색하도록 돕는다. LG전자는 매년 추가되는 webOS의 신기능을 기존 TV 구매 고객들도 이용할 수 있도록 5년간 무상으로 업그레이드를 제공하는 ‘webOS 리뉴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 이번달 18일 국내를 시작으로 글로벌 시장에 신제품 출시
2025년형 LG 올레드·QNED TV 신제품 판매는 이번달 18일 온라인브랜드샵에서 시작한다. 신제품은 국내를 시작으로 글로벌 시장에 순차 출시될 예정이다.
LG전자는 올해 LG 올레드 TV를 선명한 화질의 올레드 에보와 일반형 올레드 등으로 운영한다. 42형부터 97형까지 이르는 사이즈다. 올레드 TV 국내 출하가는 77형 기준 640만원부터 900만원까지다. 83형의 경우 920만원부터 1,300만원까지다.
LG QNED TV는 초대형·프리미엄 LCD TV에 대한 고객 수요를 반영한 100형 제품을 새로 선보인다. QNED TV의 국내 출하가는 75형 기준 459만원부터 469만원까지다. 86형 기준으로는 459만원부터 619만원까지다. 100형 제품의 출하가는 890만원이다.
LG전자 MS사업본부장 박형세 사장은 “2025년형 신제품은 실생활에서 고객에게 실질적인 이점을 제공하는 공감지능(AI) 기능에 초첨을 맞췄다”며 “손에 잡히는 AI 기능을 통해 고객의 TV 시청 경험을 한 차원 끌어올리겠다”고 말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