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서울 공동주택 공시가격 7.86% 상승…강남권 보유세 30% 오를 듯

국토부, 올해 공시가격 공개…4월2일까지 열람
시세반영률 69% 작년 동일…전년비 소폭 올라
강남·서초 11% 오를 때 도봉·강북 1%대 상승
권태욱 기자 2025-03-13 11:36:58
롯데월드타워 전망대에서 바라본 송파구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올해 서울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지난해보다 7.86%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서울지역의 보유세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월1일 기준으로 조사·산정한 공동주택 약 1천558만 가구의 공시가격에 대해 14일부터 4월2일까지 소유자들이 열람하도록 한다고 13일 밝혔다. 

올해 공시가격은 지난해보다 전국 평균 3.65% 상승했다. 지난해(1.52%)보다는 높지만 2005년 공동주택 공시 제도가 도입된 이래 연평균 변동률(4.4%)보다는 낮다. 

정부는 2023년 공시가격부터 3년 연속 시세 대비 공시가격 비율(현실화율)을 69.0%로 적용해 공시가를 산출했다. 이에 따라 시세 변동 폭만 공시가격에 반영됐다. 

시·도별 공동주택 공시가격 변동률. 국토부

지역별로 보면 17곳 광역시·도 중 7곳의 평균 공시가격이 올랐지만 10곳은 떨어졌다. 

서울 7.86%, 경기 3.16%, 인천 2.51%, 전북 2.24%, 울산 1.07% 순으로 공시가가 많이 올랐다. 반면 가장 많이 하락한 지역은 세종(-3.28%), 대구(-2.9%), 광주(-2.06%), 부산(-1.66%), 경북(-1.40%)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서는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의 공시가 상승이 눈에 띄게 높았다. 서초구(11.63%)가 상승폭이 가장 컸다. 강남구(11.19%), 성동구(10.72%), 용산구(10.51%), 송파구(10.04%), 마포구(9.34%), 광진구(8.38%), 강동구(7.69%), 양천구(7.37%), 영등포구(7.06%) 순으로 상승률이 높게 나타났다. 

서울에서 공시가가 하락한 지역은 없었지만 도봉구(1.56%), 강북구(1.75%), 구로구(1.85%), 금천구(2.39%), 노원구(2.55%), 관악구(2.70%)의 공시가 상승폭은 작은 편이다. 

공시가격이 평균 10% 이상 뛴 서울 강남권 아파트 소유자의 올해 보유세 부담은 단지에 따라 많게는 30%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가 서울 주요 아파트 단지의 올해 공시가격 변동률과 이에 따른 보유세액을 추정한 결과,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신현대 9차 111㎡의 공시가격은 지난해 27억6천만원에서 올해 34억7천600만원으로 25.9% 올랐다. 

보유세 부담은 지난해 1천328만원(재산세 694만원·종합부동산세 633만원)에서 올해 1천848만원(재산세 733만원·종부세 1천115만원)으로 39.2%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 아파트 국민평형(84㎡)의 올해 공시가격은 34억3천600만원이다. 올해 처음 공시가격이 산출된 원베일리 84㎡ 소유자의 보유세는 1천820만원으로 지난해 1천340만원보다35.9%
높아진다. 

송파구 잠실동 잠실엘스 84㎡ 공시가격은 지난해 16억3천만원에서 올해 18억6천500만원으로 14% 올랐다. 보유세 부담은 478만원에서 579만원으로 21.0% 오른다. 

마·용·성 아파트 보유세도 상당 부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마포구 아현동 마포래미안푸르지오 84㎡는 공시가격이 지난해 11억4천500만원에서 올해 13억1천600만원으로 14.9% 상승했다. 이에 따라 보유세는 244만원에서 287만원으로 17.5% 높아진다. 

반면 강북권 주택 소유자들의 보유세는 지난해와 비슷할 전망이다. 

도봉구 방학동 대상타운현대아파트 84㎡의 올해 공시가격(5억200만원)은 0.8% 올랐다. 보유세는 1.0% 오른 62만원으로 추산됐다. 

에테르노 청담. 에테르노 청담 홈페이지

■아이유·송중기 사는 200억원 ‘에테르노 청담’ 전국 최고가

전국에서 공시가격이 가장 비싼 아파트는 서울 강남구 청담동 ‘에테르노 청담’인 것으로 조사됐다.

에테르노 청담 전용면적 464.11㎡의 올해 공시가격은 200억6천만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지난해보다 공시가격이 72억원이나 뛰었다. 

가장 비싼 아파트 타이틀은 4년 연속 에테르노 청담과 300m 떨어져 있는 ‘더펜트하우스 청담'’ 차지했으나 이번에 1위 자리를 넘겼다. 

에테르노 청담은 2023년 말 준공 승인을 받은 서울 강남구 청담동의 한강변 아파트로, 프리츠커상 수상자인 라파엘 모네오가 설계했다. 가수 겸 배우인 아이유가 130억 원에, 배우 송중기가 150억 원에 각각 분양받아 화제를 모았다.

공시가격 상위 2위는 강남구 청담동 더펜트하우스청담으로, 전용면적 407.71㎡의 올해 공시가격이 172억1천만원이다. 1년 새 8억1천만원 올랐다. 

공시가격 상위 1·2위 아파트의 시공사는 모두 현대건설이다.

상위 3위는 지난해와 같은 서울 용산구 한남동 나인원한남이다. 전용면적 244.72㎡가 163억원으로 지난해보다 56억3천만원 올랐다. 4위는 용산구 한남동 한남더힐 244.75㎡로 118억6천만원이다. 

올해는 서울 서초구 반포동의 래미안원베일리가 공시가격 상위 10위 안으로 들었다. 2023년 8월 사용 승인을 받은 원베일리는 올해 처음으로 공시가격이 매겨졌다. 원베일리 234.85㎡ 공시가격은 110억9천만원으로 상위 5위였다. 

공시가격 상위 10위 아파트 모두 서울에 위치하고 있다. 강남구에 있는 아파트가 2곳, 용산구 3곳, 서초구 3곳, 성동구 2곳이다.

공시가격은 정부가 조사·평가해 공시하는 부동산 가격으로, 종합부동산세·재산세 등 각종 세금 부과는 물론 건강보험료 사정, 기초연금·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선정 등 67개 행정 제도의 기준으로 사용된다. 

국토부는 4월 2일까지 공시가격안에 대한 의견청취 절차를 거친 뒤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 후 4월 30일 공시한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