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가 병원에 로봇을 넣는다고?”
고개를 갸웃하게 만드는 이 뉴스는 단순한 이색 협업이 아니다. 현대자동차·기아가 한림대학교의료원과 손잡고 ‘로봇 친화 병원’ 구축에 나섰다. 자동차 기업이 병원에 왜 로봇을 들고 들어갔는지, 그 배경을 짚을 필요가 있다.
현대차는 이미 자동차 회사가 아니다. 스스로를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이라 부른다. 이들의 모빌리티 개념은 도로 위 자동차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람과 물건, 서비스를 어떤 방식으로 공간 속에서 이동시킬 것인가에 집중한다. 이번 병원 로봇 협업도 그 연장선이다.

병원, 실내 모빌리티 기술의 시험대
현대차·기아는 최근 한림대의료원과 ‘로봇 친화 병원’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병원 내 배송, 인증, 이동 경로 제어 등 다양한 로봇 서비스를 공동 개발하고 실증하는 프로젝트다. 실증 1호 대상은 한림대학교성심병원이다.
이번 협약에서 병원은 실험장이자 수요처다. 한림대의료원은 현재 국내 최대 규모인 11종 77대의 의료서비스로봇을 운용 중이다. 병동 간 물품 배송, 약물 및 검체 운반, 병원 안내 등 다양한 실무에 투입되고 있다. 현대차는 여기에 로보틱스랩이 가진 기술력을 덧붙인다. 정밀한 자율주행, 실시간 관제, 안면 인식 기반 인증 시스템, 특수물품 배송 이력 관리 시스템까지 병원 환경에 맞춘 서비스를 설계한다.
병원은 일반적인 오피스보다 훨씬 복잡하다. 휠체어, 이동식 침대, 환자, 의료진, 보호자 등 다양한 요소가 혼재된 고밀도 공간이다. 특히 의료정보 보호, 감염 관리, 출입 통제 등 보안과 안전이 동시에 요구된다. 로봇의 정밀성과 실시간 판단 능력이 핵심이다.

오피스 넘어 의료로…현대차 전략 변화
현대차는 이 같은 의료환경을 ‘실내 모빌리티 고도화의 최전선’으로 본다. 이미 민간 오피스를 대상으로 한 ‘로봇 친화 빌딩’ 사업을 통해 기본 기술을 검증해왔다. 2024년부터는 팩토리얼 성수 등에 실내 배송, 무인 택배, 전기차 충전 로봇 등을 공급하며 복합 공간 내 자율주행과 로봇 운영 경험을 쌓았다. 병원은 이를 의료 목적에 맞춰 확장하는 고난도 실험장이자 차세대 시장의 진입점이다.
단순한 기술 시연을 넘어, 병원은 새로운 수익모델이 될 가능성도 있다. 병원은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업무가 많아 로봇 도입 효과가 뚜렷하다.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의료 현장의 인력 부족은 구조적인 문제로 떠올랐다. 병원과 요양기관은 향후 로봇 수요의 핵심 시장이다.

B2C에서 B2B로…로봇 구독 시장 겨냥
현대차는 B2C 중심의 완성차 모델 외에 B2B 기반의 로보틱스 솔루션 사업으로 저변을 넓히고 있다. 단순한 로봇 판매가 아닌, 로봇 운영·관제·유지보수를 포함한 구독형 서비스 모델도 검토 중이다. 병원과 같은 고정 수요처를 확보하면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기대할 수 있다.
한림대성심병원은 이번 협업에서 테스트베드 역할을 맡는다. 병원 내 다양한 요구사항과 사용자 피드백을 수집해 로보틱스랩에 제공하고, 실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규 로봇 제품의 기획과 고도화를 추진한다. 향후 타 병원으로의 확산도 염두에 두고 있다.
현대차·기아 측은 이를 통해 ‘로봇 친화 병원’의 표준과 인증체계를 마련하겠다는 목표다. 스마트 모빌리티가 적용되는 공간을 병원에서부터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스마트시티를 향한 축소판 실험
전문가들은 병원이 스마트시티 구현의 축소판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이동 경로 최적화, 출입 인증, 에너지 사용의 효율화, 데이터 기반 운영 등은 도시 운영과 맞닿아 있다. 병원에서의 로봇 실증은 스마트시티 전체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의 시작점으로 평가된다.
현대차는 병원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로보틱스 솔루션을 확장 중이다. 지난 3월 보안 전문 기업 슈프리마와 손잡고 로봇 기반 물리보안 시스템 공동 개발에 나섰다. 공간별 요구에 맞춘 로봇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한다.
현대차 로보틱스랩장 현동진 상무는 “병원은 자율주행, 관제, 인증, 이동관리 등 로보틱스 핵심 기술을 통합할 수 있는 고밀도 공간”이라며 “의료진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 환자의 편의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림대의료원 김용선 의료원장도 “현대차의 로봇 기술과 한림대의 의료 경험이 만나 인간 중심의 로봇 친화 병원을 구축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