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홈플러스 피해자들, 김병주 MBK 회장 집단 고소

홈플러스 사태 결국 검찰 수사로
금감원, 조사 결과 이첩 논의 중
이현정 기자 2025-04-11 14:48:23
홈플러스 물품구매 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11일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홈플러스의 '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과 관련해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 등을 사기 혐의로 고소하기에 앞서 기자회견하고 있다. 연합뉴스

홈플러스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 피해자들이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과 홈플러스 경영진을 검찰에 고소했다.

금융당국도 MBK 등에 대한 조사 결과를 이달 중 검찰에 넘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3월 4일 기습적인 기업회생 절차 신청으로 시작한 홈플러스 사태가 결국 검찰수사로 넘어가게된다.

홈플러스 물품구매 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와 피해자들은 11일 오전 서울중앙지방검철청 앞에서 ‘MBK 김병주, 홈플러스 김광일 조주연 이성진 집단고소 기자회견’을 열고 고소장을 접수했다.

고소장에 이름을 올린 개인과 법인 피해자는 120여명, 피해 금액은 900억 원대에 달한다.

금융감독원은 홈플러스와 MBK의 (ABSTB 발생 관련) 사기적 부정거래 검사·조사와 관련해 유의미한 사실관계를 확인했으며 검찰 이첩 시기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김병주 회장은 홈플러스의 600억 원 대출에 보증하는 방식 등을 포함 1000여억 원의 사재 출연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금융권에서는 “보증 600억원의 경우 단순 보증일 뿐 사재 출연이 아니라 실제로 김 회장 돈은 한 푼도 들어가지 않은 것”이라고 비판했다.

민병덕 국회의원 등 야당 의원들은 10일 국회에서 ‘MBK의 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 긴급 토론회’를 열고 “검경, 국세청 등 당국이 모두 나서 전액 피해 보상을 관철하겠다”며 김 회장의 책임있는 조치를 촉구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