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나스닥, 사상 최고…뉴욕 3대 지수 동반 상승

다우존스30 4만4458.30(+0.49%), S&P500 6263.26(+0.61%), 나스닥 2만611.34(+0.94%)
서부텍사스산원유(WTI) 배럴당 68.38달러(+0.07%), 브렌트유 배럴당 70.19달러(+0.06%)
조시현 2025-07-10 09:13:35
뉴욕 거래소의 트레이더. 연합뉴스/로이터

뉴욕 주식시장 3대 주가지수가 기술주 강세에 힘입어 동반 상승세를 보였다.

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17.54포인트(0.49%) 오른 4만4458.30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전장보다 37.74포인트(0.61%) 상승한 6263.26, 나스닥종합지수는 192.87포인트(0.94%) 뛴 2만611.34에 장을 마쳤다.

이날 시장의 주인공은 엔비디아였다. 장 초반 주가가 164.42달러까지 뛰면서 사상 처음으로 시총 4조달러의 영역을 개척했다. 전 세계 기업 중 최초다.

엔비디아는 2024년 2월 시총 2조 달러를 처음 돌파한 데 이어, 같은 해 6월 3조 달러를 넘어선 후 약 1년 만에 4조 달러 고지에 올랐다.

이같은 흐름에 기술주 전반으로 열기가 확산하면서 S&P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업종별로는 필수소비재와 에너지, 부동산을 제외한 모든 업종이 강세였다. 유틸리티는 1% 상승했다.

엔비디아의 ‘축포’에 시총 1조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들도 모두 강세로 보조를 맞췄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 메타, 알파벳이 1%대 상승세를 보이며 인공지능(AI)이 여전히 시장의 주도 테마라는 점을 확인시켜줬다. 테슬라는 최근 약세로 시총이 1조달러를 밑돌고 있다.

세계 최대 커피 체인 스타벅스은 최대 100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인정받는 중국 사업부문의 지분 매각을 진행 중이라는 소식에도 강보합으로 그쳤다.

미국 에너지 기업 AES는 회사 매각 검토 소식이 전해지며 20% 급등했다.

반면 유나이티드헬스그룹은 미국 법무부가 메디케어 청구 관행에 대해 수사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2% 가까이 하락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9월 기준금리 25bp 인하 확률을 63.9%로 반영했다. 전날 마감 무렵은 60.8%였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0.87포인트(5.18%) 내린 15.94였다.

뉴욕 유가는 등락을 거듭한 끝에 소폭 상승했다. 미국 원유 재고가 크게 늘었다는 소식과 미국의 대이란 관련 제재 발표가 시장에 상반된 영향을 미쳤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대비 0.05달러(0.07%) 상승한 배럴당 68.38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기준유인 브렌트유 9월물은 0.04달러(0.06%) 오른 70.19달러에 마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삼성생명법, 규제 강화가 능사인가?

삼성생명법, 규제 강화가 능사인가?

삼성이 우리 나라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역할은 엄청나지만, 삼성에 대한 평가점수는 박하다. 삼성전자가 고대역폭메모리(HBM)을 놓쳐서 주가가 빠
수생식물의 천국 ‘우포늪’

수생식물의 천국 ‘우포늪’

종합경제매체 한양경제는 매주 월요일 ‘디지털 붓으로 그린 세상’ 연재를 시작합니다. 이영호 작가가 그간 갤럭시노트에 S펜으로 직접 그려온
공리주의 분배

공리주의 분배

“형, 아버지 유산은 법에 정한대로 똑같이 나누었으면 해!”“부모님 가까이 살며 제사며 병문안 같은 일들은 내가 도맡아 해왔어. 말로 다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