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지난해 법인 접대비 12.7조원…1년 만에 1.3조 ↑

중소기업 접대비 9조1천억원…제조업 접대비가 가장 많아
100억원 초과 수입 신고한 법인 5만1천개…전체의 5.2%
김수정 경기일보 기자 2023-09-25 18:33:28
/자료=국세청

지난해 법인 접대비가 12조원을 돌파했다. 전년 대비 1조3천억원 늘었다.

국세청이 25일 발표한 ‘2018∼2022년 법인세 세액공제·감면과 접대비·기부금 등 총 77개 항목 국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법인 접대비는 12조7천억원으로, 5년 전(10조7천억원)보다 2조원(18.7%) 늘었다.

이중 중소기업 접대비는 9조1천억원, 중소기업을 제외한 나머지 일반법인 접대비는 3조6천억원을 차지했다.

업태별로는 제조업 접대비가 3조8천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서비스업(2조5천억원), 도매업(2조2천억원) 등 순이었다.

지난해 100억원 초과 수입을 신고한 법인은 전체의 5.2%를 차지한 5만1천개로 집계됐다. 이들 법인의 총 부담세액은 77조4천억원으로, 전체 세액의 88.1%를 차지했다.

1조원이 넘는 수입금액을 신고한 법인은 529개였고, 이들의 총 부담세액은 46조9천억원(53.4%)이었다. 업태별 법인세 신고 법인 수를 보면 서비스업이 22만2천개로 선두 자리에 섰고, 제조업이 18만5천개로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 법인세 세액공제를 받은 법인은 17만3천개, 세액공제액은 총 13조6천억원으로 집계됐다. 법인 수 기준으로는 중소기업이 91.9%, 공제액 기준으로는 일반법인이 73.5%를 차지했다.

법인 기부금은 4조4천억원으로 제조업(1조5천억원), 금융·보험업(1조1천억원), 서비스업(5천억원) 순으로 많았다.

※이 기사는 경기일보 기사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