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이복현 금감원장 “자금 쏠림에 금리 상승 가능성…비상체제 유지”

금융 상황 점검 회의…대내외 리스크 요인 확인
“위기 대응 여력 있지만 안정성 확보에 만전”
김수정 경기일보 기자 2023-11-02 19:38:38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달 27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일 “4분기 고금리 예금 만기 집중 등에 따른 자금 쏠림으로 금리 상승이 심화될 수 있다”며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이날 ‘금융 상황 점검 회의’를 개최하고,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기준금리 동결 이후 금융시장 동향과 대내외 리스크 요인을 점검하며 이같이 말했다.

이 원장은 “최근 일부 기업이 시장 불확실성 및 금리 부담 등으로 자금조달을 회사채에서 은행대출이나 CP(기업어음)로 변경하는 등 조달여건에 변화가 보인다”고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연초 대비 회사채 잔액이 500억원 이상 감소한 60개 기업 중 20곳은 은행대출, 5곳은 CP, 11곳은 사모사채, 24곳은 자체자금으로 공모 회사채를 상환했다.

이와 관련해 이 원장은 “회사채·단기자금시장의 차환 동향, 신용스프레드 확대 여부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시장과 긴밀하게 소통해야 한다”며 “필요 시 시장안정조치를 협의·시행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공조 및 대비 태세를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원장은 고금리예금 재유치, 외형확대 등을 위한 금융권의 수신 경쟁 심화가 대출금리 추가 상승으로 이어져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이자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봤다.

이에 금융권 전반의 수신금리 추이 및 자금흐름 동향과 자산 증가율 등 과당경쟁 관련 지표를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경영진 면담 등을 통해 건전한 경영을 유도하겠다고 했다.

고금리가 지속되는 상황 속 가계의 원리금 부담이 증가하는 흐름은 향후 우리 경제의 잠재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 “지난 9월 13일 발표된 가계부채 관리대책이 실효성 있게 운영돼 가계대출 증가 폭이 적정 수준에서 관리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끝으로 이 원장은 연말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계절적 특성이 이스라엘-하마스 사태와 같은 외부적 요인과 결합돼 증폭되는 상황에 대비해 비상체제를 유지하겠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지난 1년간 시장 및 금융회사 건전성 관리를 꾸준히 해 왔기 때문에 상당한 위기에도 대응할 수 있는 여력을 갖추고 있다”면서도 “연말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말고 금융시장과 산업의 안정성 확보에 만전을 기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 기사는 <경기일보> 기사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