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이복현 금감원장 “자금 쏠림에 금리 상승 가능성…비상체제 유지”

금융 상황 점검 회의…대내외 리스크 요인 확인
“위기 대응 여력 있지만 안정성 확보에 만전”
김수정 경기일보 기자 2023-11-02 19:38:38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달 27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일 “4분기 고금리 예금 만기 집중 등에 따른 자금 쏠림으로 금리 상승이 심화될 수 있다”며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이날 ‘금융 상황 점검 회의’를 개최하고,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기준금리 동결 이후 금융시장 동향과 대내외 리스크 요인을 점검하며 이같이 말했다.

이 원장은 “최근 일부 기업이 시장 불확실성 및 금리 부담 등으로 자금조달을 회사채에서 은행대출이나 CP(기업어음)로 변경하는 등 조달여건에 변화가 보인다”고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연초 대비 회사채 잔액이 500억원 이상 감소한 60개 기업 중 20곳은 은행대출, 5곳은 CP, 11곳은 사모사채, 24곳은 자체자금으로 공모 회사채를 상환했다.

이와 관련해 이 원장은 “회사채·단기자금시장의 차환 동향, 신용스프레드 확대 여부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시장과 긴밀하게 소통해야 한다”며 “필요 시 시장안정조치를 협의·시행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공조 및 대비 태세를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원장은 고금리예금 재유치, 외형확대 등을 위한 금융권의 수신 경쟁 심화가 대출금리 추가 상승으로 이어져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이자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봤다.

이에 금융권 전반의 수신금리 추이 및 자금흐름 동향과 자산 증가율 등 과당경쟁 관련 지표를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경영진 면담 등을 통해 건전한 경영을 유도하겠다고 했다.

고금리가 지속되는 상황 속 가계의 원리금 부담이 증가하는 흐름은 향후 우리 경제의 잠재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 “지난 9월 13일 발표된 가계부채 관리대책이 실효성 있게 운영돼 가계대출 증가 폭이 적정 수준에서 관리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끝으로 이 원장은 연말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계절적 특성이 이스라엘-하마스 사태와 같은 외부적 요인과 결합돼 증폭되는 상황에 대비해 비상체제를 유지하겠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지난 1년간 시장 및 금융회사 건전성 관리를 꾸준히 해 왔기 때문에 상당한 위기에도 대응할 수 있는 여력을 갖추고 있다”면서도 “연말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말고 금융시장과 산업의 안정성 확보에 만전을 기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 기사는 <경기일보> 기사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