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현대엔지니어링 ‘고잉 디지털 인프라 어워드’ 2년 연속 우승

‘철골구조 설계 자동화 프로그램’ 설계오류 절반 줄여
지난해 이어 올해도 1위…“대외적으로 기술력 인정받아”
권태욱 기자 2024-10-17 16:55:46
백현일(가운데) 현대엔지니어링 매니저가 벤틀리시스템즈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

현대엔지니어링은 캐나다에서 열린 벤틀리시스템즈 주관 ‘2024 고잉 디지털 인프라 어워드’ 구조공학 부문에서 우승했다고 17일 밝혔다. 

인프라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업체인 벤틀리시스템즈가 주관하는 이 행사는 벤틀리시스템즈의 소프트웨어를 사용자를 대상으로 인프라 건설, 디자인, 운영 등의 측면에서 성과를 거두는 동시에 지역사회의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한 프로젝트를 선정해 시상한다. 

올해 시상식에는 △구조공학 △건설 △도로 △교량 등 12개 부문에서 36개국이 접수한 250여 건의 프로젝트를 심사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구조공학 부문에 ‘플랜트 철골구조 설계 자동화 프로그램’을 제출해 우승을 차지했다. 

이 프로그램은 철골구조의 설계 정보와 다양한 변수를 해석해 설계에 반영하고, 철골부재에 작용하는 하중 등을 계산해 적절한 부재를 자동으로 선정해준다. 엔지니어는 기존의 단순 반복적인 설계 업무에서 벗어나 경제성과 시공성을 고려한 설계에 집중할 수 있다는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현대엔지니어링이 이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해본 결과, 철골 구조물의 설계에 드는 시간은 70% 단축되고 설계 오류는 50%가 줄었다. 

설계 지연과 오류로 인한 공기 미준수를 사전에 방지하고, 철골 물량 절감과 함께 탄소 배출량 감소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해 ‘토건 자동화 설계 프로그램’을 제출해 구조공학 부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인프라 산업 분야의 세계적인 시상식에서 2년 연속 우승을 달성함으로써 현대엔지니어링의 설계 자동화 기술력을 인정받았다”며 “현대엔지니어링은 업계 최초로 인공지능(AI) 기반 플랜트 자동 설계 시스템을 개발했으며 조경·케이블·배관 등 플랜트 및 건축 산업 내 다양한 분야에서 설계 자동화 기술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