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현대제철, 탄소저감 자동차강판 '호평'

독일 CBP·ECB, 미국 IABC 등 차체학회 참가
‘전기로-고로 복합공정기술’ 활용 제품 공개
하재인 기자 2024-10-18 17:37:47
현대제철 연구원이 독일 ECB에 참석한 고객사에 탄소저감 자동차강판 제품을 설명하고 있다. 현대제철

현대제철이 탄소중립형 자동차용 고급 제품 생산 체제 구축이 핵심인 탄소중립 실현 계획을 지속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글로벌 차체학회에 참가해 ‘전기로-고로 복합공정기술’을 활용한 탄소저감 자동차강판 기술을 소개했다고 18일 밝혔다.

‘전기로-고로 복합공정기술’은 현대제철이 탄소중립 전환 대응을 위해 개발한 공정기술이다. 고로에서 철광석으로 생산한 쇳물과 전기로에서 스크랩(고철)으로 생산한 쇳물을 전로에서 혼합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기존 고로 제품 대비 탄소 배출이 약 20% 저감된 철강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현대제철이 참가한 차체학회는 자동차 차체의 소재와 부품 관련 연구기술 및 개발동향을 공유하고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신기술 소개하는 자리다. 글로벌 완성차사, 부품사, 철가사 전문가들이 모여 각 기업들의 기술경쟁력을 확인한다.

현대제철은 6월 독일에서 열린 자동차 차체 소재 및 부품학회 ‘CBP’를 시작으로 9월 미국 'IABC'와 이번달 15일부터 17일까지 열린 독일 ‘ECB’ 등에 참가했다.

학회에서는 전기로-고로 복합공정기술을 기반으로 생산한 탄소저감 강판 제품기술을 발표하고 실제 제작한 부품들을 전시했다. 홍보부스에 전시된 내용은 현대제철이 탄소저감 강판으로 만든 자동차 외판재에 대한 시험 평가 결과와 1.0GPa(기가파스칼)급 열연강판, 1.2GPa급 냉연강판, 1.5GPa급 핫스탬핑 제품 등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주요 글로벌 차체학회 참석 및 홍보활동을 통해 탄소저감 강판, 초고장력 강판 등 차별화된 현대제철의 자동차강판 기술 경쟁력을 알리고 글로벌 자동차향 제품 판매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현대제철은 지난해 4월부터 고성형 외판재, 초고강도강, 내판재, 핫스탬핑제품 등 탄소저감 자동차강판에 대한 개발과 실증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고로 생산 제품과 동일한 품질 수준을 검증했다. 기존 고로에서 생산하던 자동차강판 전 강종은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