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S홈쇼핑, 멤버십 혜택 ‘미식투어’ 확대 개편
2025-04-30

23일 동해지방해양수산청에 따르면 강원도 동해·묵호항에서 처리된 항만 물동량이 638만 톤으로, 2024년 3분기에 전년 대비 23.8% 급감했다. 2023년 3분기 840만 톤에서 146만 톤이 감소한 수치다.
동해·묵호항의 물동량은 2021년 약 3,167만 톤까지 기록했으나, 2022년에는 -3.9%, 2024년 1분기 –17.4%, 2분기 –20.1%, 3분기 -23.8%로 감소폭을 더 키우고 있다 .
물동량 감소는 발전소 운영 중단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송전탑 건설이 지연되면서 전력 공급이 원활하지 않자 화력발전소 가동이 중단됐고, 그에 따라 석탄과 시멘트와 같은 주요 자재의 운반이 크게 줄어들었다. 석탄 수입량은 49.4% 감소했고, 시멘트 수출량도 19.9% 줄어들었다.
전력이 있어도 못보내는 노후설비
전력 문제는 단순히 화력발전만의 문제가 아니다. 원자력 등으로 전력 수급을 해결할 수 있지만 문제는 노후화된 송전설비다. 전기를 만들어도 노후 설비로 전기를 제대로 보낼 수 없다는 뜻이다.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송전탑 건설 등 선로 교체작업이 필요한데, 환경단체와 일부 주민들의 반대로 수십 년째 지연되고 있다.
동해·묵호항의 물동량 감소는 단순한 전력 수급 문제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항만 기능의 상실로까지 이어질 위험이 있다. 송전설비를 제때 교체하지 않으면 전력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상황에서 항구경제는 계속 침체될 수밖에 없다.
교체 지연과 전력망 확충의 어려움
동해안 송전탑 건설 계획은 2008년에 처음 발표되었으나, 15년째 일부 주민들과 환경단체의 반대에 부딪혀 첫 삽도 뜨지 못하고 있다. 송전탑이 전자파를 발생시킨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건설이 계속 지연되고 있다. 이러한 반대는 경남 밀양에서의 송전탑 반대 운동 이후 더욱 심화되었고, 그로 인해 전력 공급에 필요한 인프라 확충이 어려워진 것이다.

수도권에도 번지는 전력난
이 문제는 단순히 동해안 지역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수도권 또한 전력 공급 부족에 대한 심각한 위험에 직면해 있다. 동해안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수도권으로 송전할 수 있는 송전탑이 지연되면서, 수도권 전력망의 불안정성도 점차 심화되고 있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동해안-수도권 전력망 사업이 2026년까지 지연될 경우, 국민이 추가 부담해야 할 전기 요금이 연간 3,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전력 공급 차질은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국가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국적으로 주요 전력망 건설 사업은 예정일보다 최대 12년가량 지연되고 있다. 태안화력 등 서해안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이송하는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는 137개월 늦어진 올해 6월 준공 예정이고, 동해안의 원전과 화력발전소와 수도권을 잇는 ‘동해안~신가평 송전선로 ’는 5년 늦어져 2026년 6월로 미뤄졌다.
한국전력공사와 정부는 송전망 확충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만, 주민들의 반대는 여전히 강력하다. 특히 동서울 변전소 증설이 지연되면서 수도권 전력 공급의 불안정성이 증가하고 있다. 한전은 전자파에 대한 과학적 검증 결과를 통해 주민 불안을 해소하려 하고 있지만, 갈등 해결에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전력 인프라의 문제는 동해·묵호항과 같은 항만의 경제 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는 송전설비 개비와 송전탑 건설이 시급히 진행되어야 한다. 주민들의 우려를 해소하고, 환경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국가 전력망 안정성과 지역 경제 회복에 필수적이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