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8월 출생아 2만명, 두 달째 1천명대↑…“결혼 증가 영향”

8월 혼인 1년 전보다 20% 늘어…역대 최대 증가율
연합뉴스 2024-10-23 17:27:18
연합뉴스 제공

8월 출생아 수가 작년 혼인이 늘어난 영향 등으로 1천명 이상 늘면서 두 달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출생아 증가세는 올해 하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연간 기준으로도 출생아가 늘어날 가능성이 커졌다.

정책 지원 등 영향으로 8월 혼인도 역대 최고 수준의 증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8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8월 출생아 수는 2만98명으로 1년 전보다 1천124명(5.9%) 증가했다. 전달(1천516명)에 이어 두 달째 1천명 이상 증가세다.

같은 달 기준으로 보면 2012년(2천95명) 이후 12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세다. 증가율 기준으로는 2010년(6.1%) 이후 가장 높다.

코로나19 탓에 지연됐던 결혼이 2022년 8월부터 작년 상반기까지 집중되면서 출생아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출생아 수가 적었던 것에 대한 기저효과도 있기 때문에 연말까지 출생아 수 증가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런 추세라면 연간 기준으로도 작년보다 출생아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올해 출생아 수가 전년보다 증가하면 2014년 이후 10년 만에 증가 전환이다.

올해 1∼8월 누계 출생아 수는 15만8천11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15만8천609명)과 비교하면 589명(0.4%) 적다.

혼인도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8월 혼인 건수는 1만7천527건으로 1년 전보다 2천917건(20.0%) 증가했다. 올해 4월 이후 다섯 달째 증가세다.

같은 달 기준으로 2010년(2천969건) 늘어난 뒤로 14년 만에 최대 폭 증가다. 증가율 기준으로는 1981년 월간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뒤로 최대다.

1∼8월 누계 혼인 건수는 14만6천40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2% 늘었다. 주로 30대 초반에서 혼인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정부는 이른바 '결혼 페널티'를 줄이기 위한 정책 효과가 혼인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8월 이혼 건수는 7천616건으로 1년 전보다 440건(5.5%) 줄었다.

8월 사망자 수는 3만2천244명으로 1년 전보다 1천721명(5.6%) 늘었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웃돌면서 인구는 1만2천416명 자연 감소했다.

rock@yna.co.kr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