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자동차 시장은 전반적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현대자동차의 경우, 3분기(7~9월)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한 42조 9,283억 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한때 친환경 차량 분야에서 기대를 모았던 수소차 시장은 올해도 역성장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에너지 전문 리서치 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3년 1~11월 전 세계 수소차 판매량은 약 13,400대로 전년 대비 27.4% 감소했다. 특히 국내 수소차 시장이 약 54% 급감하면서 전 세계 수소차 판매량 감소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18년 출시 이후 큰 변화 없이 유지된 현대차의 ‘넥쏘’는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선택지를 제시하지 못한 것이 판매 둔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둘째 아들 전기차는 AI와 손잡고 급성장
현재 전 세계 자동차 시장은 크게 내연기관차, 전기차, 그리고 수소차로 구분된다. 여전히 내연기관차가 자동차 생산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기차는 급속히 성장해 전체 시장의 약 14%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 수소차는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 1% 미만의 작은 비율을 기록 중이다. 전기차와 비교해 수소차는 시장 규모가 여전히 한정적이며, 충전 인프라와 비용 문제로 인해 확산 속도가 더딘 상황이다.
문재인 정부 시절, 수소차 확대 정책이 적극 추진됐다. 2019년 발표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서는 2040년까지 수소차 누적 생산량을 620만 대로 확대하고, 수소충전소를 1,200개소로 늘리겠다는 목표가 제시됐다. 또한, 2021년 10월에는 '수소경제 성과 및 수소선도국가 비전'을 발표하며, 2030년까지 수소차 30만 대 보급과 수소충전소 660기 이상 구축을 목표로 설정했다.
윤석열 정부 들어서도 수소경제 활성화는 지속되고 있다. 2022년 11월, 정부는 '새 정부 수소경제 정책 방향'을 발표하며, 2030년까지 수소 상용차 3만 대 보급과 액화수소 충전소 70개소 구축을 목표로 설정했다. 또한, 청정수소 생태계 전환을 가속화하고 수소산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3대 성장 전략을 제시했다.

현대차가 수소차를 포기 못하는 이유
현대차는 1998년부터 수소차 개발에 착수해, 2013년에는 세계 최초로 수소차 양산체제를 구축했다. 첫 양산 모델인 ‘투싼ix Fuel Cell’에 이어, 2018년 수소차 전용 모델 ‘넥쏘’를 선보이며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선도적인 행보는 현대차에 기술적 자부심과 명예를 부여했으며, 시장에서의 상징적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동력으로 작용해왔다.
그러나 수익성이 여전히 불확실한 수소차 사업을 지속하는 것은 큰 부담이다. 현재 전기차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되는 흐름 속에서 수소차의 성장 가능성이 제한적이지만, 현대차는 장기적인 시장 변화와 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해 수소차 개발을 포기하지 않고 있다. CES 2024에서 넥쏘의 후속 모델 출시를 발표하며, 수소에너지 생태계 구축을 위한 투자 계획을 재확인했다.
장재훈 현대차 사장은 "수소 (대중화가) 어렵다고 하는데 누군가는 해야 하고, 안 하면 뺏길 수 있다. 현대차그룹이 사명감을 갖고 꾸준하고 과감하게 진행하려고 한다"며 "20년 전만 해도 배터리가 이렇게 큰 산업이 될지 회의적인 시각이 있었지만 결국 됐다"고 말한 바 있다.

글로벌 톱3의 수소차 현황
현대차 외에도 도요타, 혼다, BMW, 메르세데스-벤츠 등이 수소차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도요타는 2014년 세계 최초의 양산형 수소차인 '미라이(Mirai)'를 출시하며 시장에서 입지를 다져가고 있다. 미라이는 2020년 2세대 모델을 선보이며 디자인과 성능을 개선했다. 혼다는 2016년 '클래리티(Clarity)'를 출시했으나, 2021년 생산을 중단했다. BMW는 2022년 'iX5 Hydrogen'의 소규모 생산을 시작하며 수소차 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2020년 'GLC F-CELL'의 생산을 중단했으나, 상용차 분야에서 수소 연료전지 기술을 적용한 트럭 개발을 진행 중이다.
미래의 환경차, 그러나 넘어야 할 산 많아
수소차는 전기차보다 높은 에너지 밀도 덕분에 더 긴 주행 거리와 짧은 충전 시간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용차나 대형차량에서 효율성이 높아 장거리 운행이 잦은 경우 수소차가 더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수소 연료는 운행 중 이산화탄소와 같은 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궁극의 친환경차’로 불린다.
수소차는 여전히 미래 환경차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는 전기차 중심의 시장 재편 흐름 속에서 자금력과 인프라 확충이 중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현대차는 기술력과 자부심을 바탕으로 수소차 사업을 유지하고 있지만, 향후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자금력과 장기적 투자 지원이 얼마나 이뤄질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