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전자 전시회 ‘CES 2025’ 개막에 앞서 현지시간 6일 ‘삼성 프레스 콘퍼런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CES 2025 삼성 프레스 콘퍼런스’는 라스베이거스에 위치한 만달레이 베이호텔에서 진행했다. 전 세계 미디어 거래선 등 1,300여명이 행사에 참석했다.
이번 행사에서 삼성전자는 ‘모두를 위한 AI: 경험과 혁신의 확장’을 주제로 사용자에게 초개인화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홈 AI’ 비전을 공개했다.
여기에 10년간 이어온 스마트 홈 분야 리더십을 강조하며 삼성전자의 ‘홈 AI’ 혁신을 집을 넘어 산업과 사회로 확장하는 전략을 소개했다.
삼성전자 한종희 대표이사 부회장은 “삼성전자의 홈 AI는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초개인화된 맞춤형 경험을 제공해 일상에 편리함과 즐거움을 선사한다”며
“삼성전자가 가진 독보적인 홈 AI 혁신을 집을 넘어 산업과 사회로 확장해 미래 100년까지 혁신 리더십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 ‘홈 AI’ 비전, 사용자의 필요성에 맞춰 초개인화된 맞춤형 경험 제공
삼성전자가 공개한 ‘홈 AI’ 비전은 '스마트싱스'를 통한 기기 연결 경험 전반에 AI 기술을 통합해 사용자의 필요성에 맞춰 초개인화된 맞춤형 경험을 제공한다. 다양한 상황과 패턴을 구분하고 이해하며 공간 AI를 통해 집안 사물과 공간까지 분석해 사용자에게 더 고도화된 솔루션을 제안한다.
여기에 삼성전자는 공간 AI 기반 ‘스마트싱스 앰비언트 센싱’ 기술을 소개했다. 해당 기술은 연결된 기기들을 통해 사용자의 기기 사용 패턴, 움직임, 주변 소리 등을 감지하고 분석한다. 이를 통해 상황에 맞춰 집안 정보 요약, 조치가 필요한 상황 알리, 기기 제어 제안 등을 할 수 있다.
향후 ‘홈 AI’ 전반에는 AI 음성 비서 ‘빅스비’를 적용할 예정이다. 업그레이드된 AI 음성 비서 ‘빅스비’는 가족 구성원의 목소리를 구별할 수 있다.
삼성 통합 소프트웨어 경험인 ‘One UI’는 모바일, TV, 가전에 적용해 제품간 시너지를 강화한다. 최대 7년간은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지원해 ‘홈 AI’ 경험을 개선할 예정이다.

■ 삼성전자 보안 솔루션 ‘삼성 녹스’ 기반 보안 기술 소개
이번 행사에는 삼성전자의 보안 솔루션 ‘삼성 녹스’를 기반으로 한 보안 기술 소개도 이뤄졌다.
삼성전자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서로 연결된 기기들이 보안 위협으로부터 집과 개인 데이터에 더해 서로를 보호하도록 하는 ‘삼성 녹스 매트릭스’를 모바일, TV, 와이파이가 탑재된 가전 전 제품으로 확대한다.
녹스 매트릭스에 연결된 기기들을 한번에 보여주는 ‘녹스 매트릭스 대시보드’와 PIN, 비밀번호, 생체정보 등 사용자의 민감 정보를 별도 보안칩에 저장해 보호하는 ‘삼성 녹스 볼트’도 모바일과 TV를 넘어 패밀리허브 신제품 등 일부 가전으로 확대한다.

■ 삼성전자, 행사 통해 다양한 ‘홈 AI’ 신제품 공개
삼성전자는 다양한 ‘홈 AI’ 신제품도 공개했다. 이 중 소개된 신제품 중 하나는 ‘갤럭시 AI’와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파일럿+ PC’ 기능을 모두 탑재해 향상된 AI 경험을 제공하는 ‘갤럭시 북5 Pro∙북360’이다. ‘갤럭시 북5 Pro∙북360’은 화면 속 이미지나 텍스트를 쉽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AI 셀렉트’와 오래되거나 화질이 낮은 사진을 선명하게 보정하는 ‘사진 리마스터’ 등 다양한 AI 기능을 보유한다.
가족 건강 관리를 돕는 ‘삼성 헬스’도 소개했다. 삼성 헬스는 갤럭시 링∙워치 등 개인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수집된 건강 지표를 AI 기술로 분석하고 맞춤형 인사이트를 제공해 사용자가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TV 전반에 AI 기능을 적용해 사용자의 니즈, 취향, 의도를 미리 파악해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삼성 비전 AI’는 올해 TV 신제품부터 처음 적용한다. 사용자들은 시청 중인 콘텐츠에서 한 번의 클릭으로 원하는 정보와 콘텐츠를 찾아 알려주는 ‘클릭 투 서치’, 외국어 콘텐츠의 자막을 실시간으로 번역해 제공하는 ‘실시간 번역’, 사용자의 취향과 선호도를 반영해 이미지를 만들어주는 ‘생성형 배경화면’ 등에 대한 맞춤형 경험을 체험할 수 있다.
라이프스타일 TV ‘더 프레임’에서 시작된 예술 작품 구독 서비스인 ‘삼성 아트 스토어’ 기능은 올해 Neo QLED와 QLED 모델로 확대 적용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스크린으로 집안에서 3,000여개 이상의 예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터치형 스크린을 탑재해 연결성과 편의성을 높인 스크린 가전 신제품도 소개했다. 사용자는 스크린 가전을 통해 집안에 연결된 기기들을 한번에 보며 제어하고 영상과 음악을 감상하고 전화를 받는 등 다양한 일상 속 편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중 9형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비스포크 냉장고 신제품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는 냉장고 속 식재료를 자동 인식해 푸드 리스트를 만들어주는 ‘AI 비전 인사이드’ 기능을 탑재했다. 이에 더해 미국 온라인 식료품 배송업체 ‘인스타카트’와의 협업으로 냉장고에 탑재된 스크린을 통해 부족한 식재료를 즉시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가 올해 안에 미국 시장에 도입될 예정이다.

■ ‘스마트싱스’ 가능성 강조…파트너들과 협업 사례 소개
삼성전자는 자동차, 선박, 산업 전반으로 확장되는 ‘스마트싱스’의 가능성을 강조하며 삼성중공업과 현대차그룹 등 파트너들과의 협업 사례도 소개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삼성중공업과 협업해 ‘선박용 스마트싱스’를 적용한 선박 솔루션을 최초 공개했다. 선원들은 ‘선박용 스마트싱스’를 통해 선박 운영 시스템 한 눈에 확인∙관리,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위한 에너지 통합 관리, 비정상 활동 지속 모니터링 등 선박 내 환경을 관리할 수 있다.
현대차그룹과 협력한 ‘차량용 스마트싱스’ 소개도 이뤄졌다. ‘차량용 스마트싱스’는 차량의 위치를 찾는 ‘스마트싱스 파인드’, 차량 탑승 전 스마트싱스를 통해 차량 상태 확인∙원격 제어,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통한 집안의 가전기기 원격 제어, 가정용 카메라의 모션 감지 알림 확인∙실시간 영상 확인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삼성전자 자회사인 하만과는 더욱 개인화되고 안전한 차량 경험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소개했다. 선보인 서비스는 각각 운전자가 도로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레디 케어’ 솔루션과 ‘레비 비전’, 운전자가 차량과 보다 친근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 차량 내 아바타 ‘레디 인게이지’다.
여기에 삼성의 차별화된 AI B2B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마트싱스 프로’도 선보였다. ‘스마트싱스 프로’는 입주자와 관리자가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건물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AI B2B 솔루션이다. 스마트싱스를 사무실과 호텔 등 상업용 건물에 더해 학교와 다중주거시설 등 다양한 건물로 확대 적용해 AI 기반으로 에너지를 통합 관리하고 유지∙보수가 필요한 설비를 원격으로 관리∙운영한다.

■ ‘모두를 위한 AI’ 비전 아래 접근성 기능 소개
삼성전자는 '모두를 위한 AI' 비전 아래 누구나 쉽고 편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성 기능을 소개했다. 각각 TV나 가전제품 초기 설정 시 사용 중인 스마트폰의 접근성 설정을 동기화하는 기능, 외화 콘텐츠의 음성을 자연스럽게 줄이고 번역된 자막을 읽어주는 기능, 목소리로 사용자를 인식해 개별 맞춤형 경험을 제공하는 기능 등이다.
삼성전자 사회공헌 활동인 삼성 솔브포투모로우와 삼성 이노베이션 캠퍼스에 대한 소개도 이뤄졌다.
이 중 삼성 솔브포투모로우는 지역의 사회적 문제를 STEM을 통해 해결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66개국 260만명 이상의 청소년들이 참여했다.
삼성 이노베이션 캠퍼스는 AI, IoT, 빅데이터와 같은 첨단 기술 교육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33개국 18만명의 청년들이 참여했다.
유엔개발계획과는 ‘삼성 글로벌 골즈 앱’과 ‘제너레이션 17’ 등 지속가능개발목표 달성을 위한 협력을 지속 중이다.
갤럭시 스마트폰의 지속가능 앱인 ‘삼성 글로벌 골즈 앱’은 출시 후 약 3억명의 갤럭시 사용자들을 통해 2,000만달러의 기부금을 모금했다.
지속가능 청년리더 지원 프로그램인 ‘제너레이션 17’은 지역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전파하기 위해 전 세계 청년 리더들에게 기술, 멘토링,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젝트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