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중국 비야디(BYD) 돌풍...한 달 만에 1,000대 돌파

中 전기차, 유럽 시장 빠르게 잠식
테슬라, 중국 전기차 공세에 ‘흔들’
中 전기차, 한국 발판으로 동아시아 시장 겨냥
하재인 기자 2025-03-06 10:06:59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한국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세계 최대 전기차 제조사 비야디(BYD)는 지난 2월 소형 SUV ‘아토3’를 국내에 출시하며 본격적인 판매에 나섰다. 이 차량은 보조금 적용 시 2,000만 원대 후반에 구매할 수 있어 동급 국산 전기차보다 약 1,000만 원 저렴하다. 비야디는 한국 시장에서 판매 네트워크를 확대할 계획이며, 현재까지 판매량은 1,000대를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오는 4월 서울모빌리티쇼에 참가해 중형 세단 ‘씰’과 플래그십 모델 ‘씨라이언7’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비야디의 전기 SUV 씨라이언7. BYD

中 전기차, 유럽 시장 빠르게 잠식

중국 전기차는 한국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 빠르게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유럽 시장에서 중국 전기차 점유율은 18.2%를 기록했다. 이는 테슬라와 기존 유럽 브랜드들을 위협하는 수준으로, 유럽연합(EU)이 중국 전기차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를 검토하게 만든 주요 요인 중 하나다.

중국 전기차의 유럽 시장 침투는 지속적인 기술 발전 덕분이다. 과거 배터리 안정성 논란으로 신뢰도가 낮았던 중국 전기차는 배터리 품질과 주행거리 개선을 통해 소비자 신뢰를 회복하고 있다. 비야디는 자체 개발한 ‘블레이드 배터리’를 탑재해 내구성과 안전성을 높였으며, 중국 배터리 기업들도 급속 충전 기술과 배터리 성능 향상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의 자동차 수출량은 491만 대로 일본을 제치고 세계 1위 자동차 수출국에 올랐다. 특히 전기차 수출량은 128만 대로 전년 대비 6.7% 증가하며 자동차 수출 성장을 견인했다. 중국 자동차 업체들은 중동, 남미, 동남아 등 신흥 시장에서도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으며, 유럽과 한국 시장에서도 공세를 본격화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수출 증가를 넘어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중국 브랜드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비야디의 SUV 전기자동차 아토3. BYD

테슬라, 중국 전기차 공세에 ‘흔들’

중국 전기차의 급성장으로 인해 테슬라는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연초 대비 약 29% 하락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함께 테슬라의 중국 내 판매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중국승용차협회(CPCA)에 따르면, 지난달 테슬라의 중국 공장 출하량은 3만 688대로 전년 동월 대비 49.16% 감소했으며, 직전 월 대비 51.47% 줄어들었다. 이는 2022년 8월 이후 최저치로, 테슬라가 중국 시장에서 점유율을 급격히 잃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비야디는 같은 기간 출하량이 161% 증가한 31만 8,233대를 기록하며 시장 장악력을 높이고 있다.

한국은 중국 전기차 업체들에게 전략적으로 중요한 시장이다. 국내 전기차 인프라는 비교적 잘 구축되어 있으며, 소비자들의 전기차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도 높은 편이다. 또한, 한국 시장에서의 성공은 일본 및 동남아 시장 확장의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야디는 2026년까지 한국 내 70개 전시장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브랜드 신뢰도를 높이고 소비자 접근성을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미국 테슬라 공장 주차장의 로고. 연합뉴스

中 전기차, 한국 발판으로 동아시아 시장 겨냥

중국 전기차의 최대 강점은 가격 경쟁력이다. 비야디의 ‘돌핀’은 약 1,800만 원대에 불과해 동급 국산 전기차보다 1,000만 원 이상 저렴하다. 그러나 가격만으로 한국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기는 어렵다. 국내 브랜드와의 품질 차이를 극복하고, 사후 서비스(AS) 및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과제로 남아 있다.

국내 완성차 업계는 중국 전기차 업체들의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 기술 혁신과 품질 강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현대차는 자율주행 기술 및 배터리 성능 향상에 집중하고 있으며, 기아 역시 전용 전기차 플랫폼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하지만 중국 브랜드의 저가 공세가 계속될 경우, 국내 업체들이 가격 경쟁에서 밀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업체들은 단순한 가격 경쟁이 아닌 기술력과 브랜드 차별화를 통해 경쟁력을 유지해야 하는 상황이다.

중국 전기차 업체들의 저가 공세는 단순한 판매 확대를 넘어 동아시아 시장 전체를 겨냥한 장기적인 전략의 일환이다. 과거 품질 논란을 극복하고 기술력을 키운 중국 전기차가 한국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여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자동차 업계와 정부는 이를 단순한 소비자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산업 경쟁력과 기술 혁신 차원에서 면밀히 분석하고 대비해야 한다. 중국 전기차의 공세를 가볍게 봐서는 안 된다.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 전기차의 경쟁력이 입증되고 있는 만큼, 국내 완성차 업계는 기술력 강화와 차별화된 서비스 전략을 통해 적극 대응해야 할 시점이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