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HY분석] 시공순위 1·2위 삼성·현대가 꽂힌 미래신사업 살펴보니

삼성물산·현대건설, 주총서 ‘수소에너지’ 정관에 추가
건설경기 침체 극복위한 돌파구…지속 성장동력 확보
권태욱 기자 2025-03-21 10:52:03
5월 준공 예정인 전북 부안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 조감도. 현대건설

국내 시공능력 평가 순위 1·2위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이 미래 성장동력으로 수소사업을 찜했다.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은 최근 열린 주주총회에서 정관의 사업목적에 수소에너지사업을 추가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동력 확보 기반을 마련했다. 

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대건설은 20일 서울 종로구 현대건설 계동본사에서 열린 제75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수소 사업을 사업 목적에 추가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이사는 “수소에너지 사업은 현대차그룹의 탄소중립 실현의 핵심”이라면서 “전기로 물을 분해해 수소 생산·저장·공급 가능 플랜트 시설인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를 건설하겠다”고 말했다. 

현대자동차그룹 등과 협력해 수소 밸류체인 전반의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그룹은 수소 생산·운송·저장·활용 등의 상용화를 위해 2033년까지 모두 2조5천억원을 투자하고, 울산공장에는 국내 첫 수소연료전지 공장을 건설해 2028년 양산한다는 계획이다. 

현대건설은 2023년 전북 부안에 국내 최대 규모의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 기지를 조성중이다. 이 기지는 국내 최대 규모 상업용 수전해 수소 생산설비로, 올해 5월 준공이후에는 2.5메가와트 용량 전기로 하루 1톤 이상 수소를 생산하게 된다. 또 SK E&S가 주도하는 충남 보령 청정수소 저장플랜트의 FEED설계를 완료한 경험도 있다. 

이 대표는 “지속 가능한 성장의 동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건설 명가의 위상을 확고히 하기 위해 끊임없이 정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북 김천 그린수소 생산기지 조감도. 삼성물산

앞서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지난 14일 서울 강동구 글로벌엔지니어링센터에서 제61기 주주총회를 열고 수소 발전 및 부대사업을 목적사업에 추가했다.  

삼성물산은 수소 발전 및 부대사업을 목적사업에 추가한 것은 수소 사업에 대한 역량을 확보하고 사업을 구체화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삼성물산은 지난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해 생산에서부터 활용까지 수소 전 밸류체인에서 사업 기회를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공식화 한 바 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그동안 수소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로 사업을 넓혀왔다. 2023년 11월에는 경북 김천시, 한국수력원자력 등과 그린수소 생산시설을 구축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시설은 태양광 발전소와 연계해 하루 0.6톤의 그린수소를 생산·저장·운송하는 것으로, 삼성물산은 기본설계와 시공을 총괄한다.  

지난해에는 강원 삼척 종합발전단지 부지에 수소화합물을 저장·하역·송출할 수 있는 기반 시설 공사 계약을 맺었다.

해외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수소 시장에도 적극 공략한다는 전략이다. 

삼성물산은 지난해 8월 호주 청정에너지 기업 DGA 에너지솔루션스와 그린수소 공동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호주 브리즈번 항만에 연간 최대 300톤의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오세철 삼성물산 대표는 “올해 불확실한 경영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신사업 성과 창출을 통해 수익성을 더욱 견고히 할 것”이라며 “신재생에너지와 수소 등 유망 산업 분야 개발과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업계 전문가는 시공순위 1,2위 업체가 신사업을 확대하고 나선 이유에 대해 “고금리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원자잿값 상승 등에 따른 건설경기 침체를 극복하기 위한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