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관세유예 효과' 하루도 못가…미·중 갈등 본격화 주가 또 급락

이현정 기자 2025-04-11 09:16:41
10일 뉴욕지수. 연합뉴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90일 유예 발표 후 역사적인 상승세를 보였던 뉴욕 증시가 하루만에 급락했다.

10일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014.79포인트(2.50%) 떨어진 3만9593.66에 거래를 마쳤다.

S&P500 지수는 188.85포인트(3.46%) 하락한 5268.05에, 나스닥종합지수는 737.66포인트(4.31%) 내린 1만6387.31에 각각 마감했다. 장중 나스닥지수는 전날 대비 7% 넘게 하락했다.

10일 뉴욕 증시는 전날 폭등에 따른 차익실현 심리로 개장부터 약세를 보이다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하는 조짐에 급락하기 시작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대중국 관세가 전날 알려진 125%가 아니라 지난 2, 3월 부과된 이른바 '펜타닐 관세'까지 더해 145%에 달한다는 소식이 장중 전해지면서 투자심리가 빠르게 식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이전에 부과되던 20% 관세까지 포함하면 미국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는 160%를 넘어선다.

이미 실효 관세율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국의 3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한 데 그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됐다는 평가가 나왔지만 불안감을 달래기엔 역부족이었다.

기술주와 에너지업종의 주가 낙폭이 두드러지면서 테슬라가 7.7% 급락했고 메타는 6.74, 엔비디아는 5.91%, 애플은 4.23% % 떨어졌다.

미중 무역전쟁 격화에 따른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로 국제유가가 다시 하락세로 돌아서면서 엑손모빌(-5.55%), 셰브런(-7.57%) 등 에너지업체 주가도 급락했다.

미국 재무부가 10일 실시한 220억달러 규모의 30년 만기 국채 경매에선 일반 투자자 입찰률이 평균 이상 수요을 기록했지만 매도세가 이어졌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