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미래운용, AI 기반 맞춤형 연금관리 솔루션 ‘M-ROBO’ 출시

이준용 부회장 “‘연금 2.0 시대’ 핵심 플랫폼으로서의 역할 기대”
이현정 기자 2025-04-15 16:40:11
서울 여의도 FKI콘퍼런스센터에서 열린 ‘M-ROBO’ 출시 기자간담회에서 이준용 미래에셋자산운용 부회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이준용 미래에셋자산운용 부회장이 “‘M-ROBO’는 미래에셋의 인공지능(AI) 기술력과 운용 철학이 결합된 플랫폼으로 누구나 손쉽고 체계적으로 퇴직연금을 운용할 수 있는 ‘연금 2.0 시대’의 대표 해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부회장은 15일 서울 여의도 FKI콘퍼런스센터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퇴직연금 시장의 혁신은 적립금 규모 경쟁을 넘어 실질적인 수익률 관리로 이어져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M-ROBO는 국내 종합 자산 운용사가 선보이는 최초의 퇴직연금 전용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다.

투자자의 연령, 성향, 목표 수익률 등을 종합 분석해 최적화된 포트폴리오를 자동 설계하고, 시장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리밸런싱하는 AI 기반 연금관리 솔루션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AI 기반 퇴직연금 자산관리 전략과 함께 퇴직연금 시장 구조 변화에 대응한 중장기 비전을 제시했다.

손수진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연금마케팅부문 대표는 “퇴직연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투자자 대부분이 직접 운용에 부담을 느끼거나 타겟데이트펀드(TDF) 등 간접투자에만 의존하는 상황에서 중간 수준의 투자 관심을 가진 이른바 ‘중관여 고객층’에 대한 전략이 부재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들을 위한 자동화된 맞춤형 솔루션으로 단순 자산배분을 넘어 인출 전략, 수익률 최적화, 위험관리까지 포괄하는 통합 연금관리 시스템 M-ROBO를 선보이게 됐다”고 덧붙였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향후 M-ROBO를 활용해 AI 기반 맞춤형 연금관리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창헌 미래에셋자산운용 로보어드바이저운용본부장은 “M-ROBO는 AI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투자자의 리스크 성향, 은퇴 시점, 시장 흐름 등을 반영해 포트폴리오를 동적으로 조정하고, 자동 리밸런싱 기능을 통해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모바일 기반 비대면 서비스를 통해 고객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기존 수수료 구조 대비 비용 효율성을 제고해 연금수익률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금 선진국을 고려하면 한국 역시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연금시장 1위 운용사로서 선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미국 퇴직연금 시장은 총 32조7천억달러 규모다. 29조4천억원 달러 규모의 개인형 퇴직연금 시장(DC+IRA) 가운데 약 5%를 로보어드바이저가 운용하고 있다.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일임 서비스는 검증된 알고리즘을 통해 투자자 성향에 따른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자동 생성하고, 이에 따라 개인형 퇴직연금(IRP) 적립금 운용을 지시하는 서비스다. 기존에는 IRP 가입자가 적립금 운용을 직접 지시해야 했지만 최근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을 받은 투자 일임업자의 로보어드바이저가 가입자를 대신해 운용을 지시하게 된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하나은행을 시작으로 미래에셋증권과 국민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신한은행, BNK경남은행, BNK부산은행 등 주요 퇴직연금 사업자들과 제휴를 맺었다. 이달부터 각 사업자 퇴직연금 플랫폼을 통해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시행할 예정이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