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美 SMR 건립 본격화…연내 착공
2025-02-26

현대건설이 에너지 중심 성장으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글로벌 원전사업은 물론 초전도 기반 핵융합로 기술 개발을 위한 진용을 갖추고 있다.
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대건설은 불가리아에 이어 슬로베니아, 핀란드로 유럽 대형원전 건설 시장 진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최근 핀란드 신규 원전 건설 사업의 사전업무착수계약(EWA) 대상자로 선정됐다. 핀란드 국영 에너지 기업 포툼은 신규 원전 건설을 위한 포괄적 타당성조사에서 현대건설·웨스팅하우스 컨소시엄을 포함한 3곳 업체를 사전업무착수계약 대상자로 선정했다.
EWA에 선정된 공급사는 프로젝트 실행에 요구되는 기술 성숙도를 평가하고 인허가 관련 내용을 검토하는 등 AP1000(3세대 원자로) 건설 전반에 대한 심도 있는 계획을 수립한다.
현대건설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사업 역량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한편 발주처와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해 본 공사 수주에 앞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또 웨스팅하우스와 슬로베니아 원전 사업에도 참여한다. 슬로베니아 국영 전력회사 젠 에너지는 수도 류블라냐에서 동쪽으로 약 80㎞ 거리인 크르슈코에 AP1000 노형 대형원전 1기를 신규 건설한다. 현대건설·웨스팅하우스 컨소시엄과 유럽개발기금(EDF)가 올 초 최종 공급사 후보로 선정돼 기술타당성조사(TFS)를 진행하고 있다.
현대건설·웨스팅하우스 컨소시엄은 AP1000 원자로 배치에 대한 타당성조사를 올 3분기까지 수행한다.
현대건설은 2022년 美 웨스팅하우스와 AP1000 원전 글로벌 시장 공동 참여를 위한 전략적 협약을 맺은 이후, 불가리아 코즐로두이 원전 설계 계약을 체결하고 진출 시장을 점차 확대하며 협력 성과를 본격적으로 가시화하고 있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11월 불가리아 원자력공사(KNPP NB)와 1단계 설계계약(ESC)을 맺고 2009년 아랍에미리트 바라카 원전에 이어 15년 만에 해외 원전사업을 재개했다.
지난 2월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 등 에너지 부문 주요 경영진이 미국을 방문해 웨스팅하우스 경영진과 긴밀한 협력 계획을 논의했다. 지난달에는 불가리아 신임 내각 주요 인사들과 면담하는 등 사업 추진을 위한 협력에 나섰다.

그런가하면 현대건설은 서울대와 ‘초전도 기반 핵융합로 기술 개발 및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핵융합 발전은 수소 등의 연료를 플라스마 상태에서 1억도 이상의 초고온으로 가열해 원자핵을 결합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원료가 풍부하고 폭발 위험성이 낮아 안전한 데다 배출가스와 방사성 폐기물 발생량이 적어 ‘꿈의 에너지’로 불린다.
차세대 에너지로서 막대한 잠재력을 지닌 만큼 고도의 기술적 과제 해결을 위해 전 세계 주요 기관과 기업들이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현대건설과 서울대는 이번 협약을 발판 삼아 국내외 초전도 기반 핵융합로와 핵융합용 초전도에 대한 연구 및 기술 개발, 사업화 등의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 관계를 맺었다.
현대건설은 대형 원전 등 다양한 플랜트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핵융합 발전소 건설 및 사업화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서울대는 핵융합과 초전도 분야의 핵심 기술 연구에 박차를 가함으로써 시너지를 창출해 미래 에너지 혁신을 끌어나간다는 계획이다.
현대건설은 이를 통해 대형원전과 소형모듈원자로(SMR)에 이어 핵융합 발전까지 원전 전 생애주기로 사업 영역을 확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처럼 현대건설이 에너지 중심으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는 이유는 지금까지 경쟁력을 쌓아온 원전 분야와 현대자동차그룹의 핵심사업인 수소 분야로 미래 성장동력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는 지난달 28일 창사 이래 최초로 연 ‘CEO 인베스터데이(Investor Day)’에서 에너지 전환 선도와 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둔 중장기 성장 전략 ‘H-로드(Road)’를 전격 공개했다.
이 대표는 “H-로드의 세 가지 전략을 성공적으로 실행해 수주 규모를 현재 17조 5천억원에서 2030년 25조원까지 확대할 것”이라며 “특히 에너지 분야 매출 비중을 21%까지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H-Road의 주요 키워드는 △에너지 트랜지션 리더 △글로벌 키 플레이어 △코어 컴피턴시 포커스 등 세 가지다.
특히 에너지 트랜지션 리더 전략을 통해 대형원전과 SMR 등 원자력 사업을 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원자력의 생산-저장-운송-활용을 아우르는 밸류체인 구축을 추진한다. 고유 원전 브랜드도 만든다.
현대건설은 이미 미국 미시간주 팰리세이즈 원전 부지에 원자력 전문기업 홀텍과 공동으로 SMR-300 1호기 착공을 앞두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이 대표의 에너지 전환 사업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장문준 KB증권 연구원은 ‘시대가 원자력을 부른다. 세계가 현대건설을 부른다’라는 제목의 현대건설 종목 보고서에서 현대건설 목표주가를 기존 대비 18.7% 상향 조정한 5만4천원으로 제시했다.
장 연구원은 “전력 수요자들이 ‘정해진 공기’와 ‘정해진 예산’ 안에서 원자력 도입을 원하고 있다”면서 “현대건설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부상했다”고 평가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50여년간 쌓아온 독보적인 원전 건설 역량과 글로벌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세계 원전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갈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