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DS, "넷마블 '7대죄: 오리진'으로 이익 정상화 시동"

- 연이어 상승한 게임 매출 실적으로 흑자 유지
- '7대죄: 오리진', 국내 최초 모바일·PC·콘솔 통합 플랫폼으로 글로벌 공략
- DS투자증권, 7대죄 초기 일매출 21억 원 기대
장주영 2025-06-02 13:53:23
DS투자증권은 넷마블이 적자를 벗어나 이익 정상화 구간에 돌입할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기존 37% 상승한 7만 원으로 조정하고 투자의견 ‘매수’와 ‘차선호주’를 유지했다. 

최승호 DS투자증권 연구원은 “23년 685억 원의 영업이익 적자를 낸 데 반해 24년 2,156억 원의 이익을 내며 이익/밸류에이션이 정상적인 수준으로 회귀하고 있다”며 밸류에이션 방법을 SOTP에서 PER로 변경했다. 

이어 넷마블의 PER는 15배, PBR은 0.8배로 평가했고 25년 매출액은 2조8670억 원, 영업이익 규모는 전년대비 54% 증가한 3,32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5년 넷마블 게임별 예상 매출액. 한양경제

올해 넷마블은 ▲RF Online(RF)▲세븐나이츠 리버스(세나리) ▲몬스터길들이기(몬길) ▲일곱개의 대죄(7대죄)가 연이어 성공했다. 특히 세나리는 초기 일매출 20억 원을 상회하는 호실적을 거둔 것으로 추정되며, 하반기 최고 기대작으로 꼽히는 ‘일곱 개의 대죄: 오리진(7대죄)’는 국내사 올해의 게임에 등극할 가능성이 높다. 

최 연구원은 “넷마블은 6일 예정인 ‘서머게임페스트’에 ‘7대죄: 오리진’ 출점을 확정하며 글로벌 마케팅에 나서고 있다”며 “전작인 ‘7대죄: 그랜드크로스’는 일본과 미국을 합해 누적 1조원에 달하는 매출을 발생시킨 바 있어 이번 글로벌 진출 또한 긍정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곱개의 대죄: 오리진. 넷마블

특히 최 연구원은 7대죄의 ‘크로스플랫폼’ 형식이 글로벌 진출 성공의 주축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크로스플랫폼은 서로 다른 기기(플랫폼)에서도 동일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대부분의 국내사 게임들이 모바일과 PC 버전의 게임을 각각 출시하며 크로스 플랫폼으로 분류되나, 콘솔 버전까지는 시도하지 않았다. 

최 연구원은 “일본과 서구권에서는 콘솔을 선호하기 때문에, 모바일 게임 기반의 ALL 크로스 플랫폼이 글로벌 진출에 좋다”며 “이에 넷마블이 국내 게임 최초로 모바일/PC/콘솔 크로스 플랫폼 게임, 7대죄: 오리진을 출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연구원은 “7대죄: 오리진의 IP가 일본 인기 IP를 기반으로 한 만큼 국내에서는 모바일 매출이, 일본과 서구권에서는 PC와 콘솔 매출이 의미있게 발생할 것”이라며 7대죄: 오리진의 초기 일매출을 21억 원으로 전망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