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열 병원장 “세대를 이어가는 혁신, 미래를 준비하는 병원”
2025-09-12

국내 마지막 국ㆍ공영 탄광인 강원 삼척 도계광업소가 89년의 역사를 뒤로 하고 문을 닫는다.
대한석탄공사 도계광업소는 지난 1936년 문을 열어 4325만여톤의 탄을 생산한 국내 최대 규모의 탄광 중 한 곳이다. 30일 공식 페광하면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됐다.
도계광업소는 지난 2023년 화순광업소, 2024년 장성광업소가 문을 닫은 이후 명맥을 유지한 대한석탄공사 산하의 유일한 탄광이었다. 하지만 마지막 국·공영 탄광인 도계광업소가 폐광함에 따라 국내에는 도계읍에 있는 민영 탄광인 경동 상덕광업소 단 한 곳만 남게 됐다.
1960년대 국가 경제개발의 핵심 에너지였던 석탄 생산의 메카로 불린 도계읍은 12개 탄광이 성업하며 한 때 인구가 5만명에 육박하기도 했다. 현재는 지난 5월말 기준 9000명도 채 되지 않는다.

■ 사람들은 다 떠나고
전날(29일) 방문한 도계읍은 화창한 날씨와 달리 을씨년스러운 분위기였다. 대한석탄공사 도계광업소 건물 주변에는 주민들이 걸어놓은 '생존권 사수' 등의 붉은 깃발만 가득했다.
도계 읍내에는 셔터를 내린 상가들이 다수 보였고, 아파트에는 드문드문 빈 집들이 보였다.
광업소에서 만난 도계 주민 A씨는 "도계광업소 폐광으로 도계도 이제는 끝났다"며 "주민들의 생계 대책은 나 몰라라 하고 폐광을 서두르는 게 말이 되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폐광을 하지 말라는 게 아니다"며 "주민들이 먹고 살 수 있는 대안을 내놔야 하지 않나? 아무런 대책도 없이 폐광한다고 먼저 선언해 버리면 우리는 어쩌라는 거냐"고 울분을 토했다.
도계 주민들은 대한석탄공사 폐광 반대 공동투쟁위원회를 꾸려 정부 차원의 생존권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김광태 투쟁위원장은 "주민들이 나선 이유는 합의 없이 일방적으로 조기 폐광이라는 명분으로 문을 닫으려고 하기 때문"이라며 "기자분이 취재해보면 아시겠지만 자원이 고갈된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체 산업으로 선정된 중입자 가속기 사업도 진행이 거의 안되고 있고 정부는 거의 무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정부는 폐광지역에 대한 조속한 대체 산업 마련과 지역 경제 회생을 책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대한석탄공사도 역사의 뒤안길로...
이같은 도계 주민들의 반발이 더욱 거세지는 이유는 이들 사업을 주도적으로 처리해야할 대한석탄공사도 곧 사라질 운명에 처했기 때문이다.
1950년 설립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공기업인 대한석탄공사는 도계광업소의 폐광 결정에 따라 존재 이유가 사라져 결국 청산될 전망이다.
산업부는 지난 10일 석탄공사 전 직원에게 30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요구한 바 있다. 사실상 모든 직원들이 업무와 관련된 일에 손 떼고 있는 실정이다.
석탄공사 관계자는 "산업부 앞에서 천막농성까지 해 봤지만 사실상 고용승계도 어려운 실정"이라며 "정부는 직무 불일치 등을 이유로 수용 불가하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그는 "어찌보면 우리도 도계 주민들과 같은 입장"이라며 "영원할 것만 같던 공기업이 이렇게 사라질 수 있다니 믿기지 않는다"고 심정을 밝혔다.

■ 정부ㆍ정치권, 뒤늦은 대책 마련 고심
폐광은 이미 결정됐지만 대채 마련은 지지부진하다. 특히 새 정부 출범 후 장관 인선과 정부 부처 변동 등을로 어수선한 분위기에 폐광 지역 대책은 뒷전으로 밀려나 있다.
삼척시 관계자는 "주민들의 거센 항의에 우리도 상위 기관에 여러 차례 문의를 한 상황"이라며 "새 정부 출범으로 상위 기관이 많이 어수선한 것은 사실이다. 아직 뚜렷한 답변을 듣지 못한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삼척 도계를 지역구로 둔 이철규 국민의힘 의원도 대책 마련을 위해 고심하는 모습이다.
의원실 관계자는 "폐광 지역 주민들 생계 대책 마련을 위해 오는 7월4일 산자부와 함께 국회에서 정책 토론회를 열 예정"이라며 "정부 부처 관계자와 강원도 관계자, 폐광 4개 지역 시ㆍ군 관계자, 주민 등이 참여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나누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간 우리나라 산업화에 중추적 역할을 했던 석탄산업 종사자에 대한 보답 차원에서라도 합당한 대체산업이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 의원님의 기본 생각"이라며 "이번 토론회를 통해 폐광 이후 지역주민들의 생존권을 확보할 대안이 마련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투쟁위원회는 오는 7월1일 정부세종청사 일원에서 3보1배 투쟁 등 생존권을 요구하는 집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