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는 3일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하는 ‘2025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에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으로 가전제품A/S 부문 1위에 올랐다고 밝혔다.
한국서비스품질지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직접 이용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한 지표다. LG전자는 정확성, 전문성, 진정성, 적극성, 이용 편리성, 사회적가치 지향성 등의 평가항목에서 업계 최고 점수를 기록했다.
LG전자가 서비스 접점에 도입한 AI와 DX 기반 혁신 솔루션은 전문적이고 신속∙정확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품 구매부터 배송, 설치, 상담, 수리, 케어 서비스까지 고객 여정 전반에 걸쳐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 중이다.
서비스 매니저가 이용하는 ‘원뷰’ 앱에서는 고객의 제품 구매 정보와 과거 수리∙상담 이력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현장에서 활용되는 ‘LG 스마트 체크’ 앱은 서비스 매니저가 제품을 분해하지 않고도 무선 연결로 제품 상태와 고장 원인을 진단할 수 있게 해준다.
GPS 기반 ‘실시간 상황 관리 시스템’은 현장에 나가 있는 서비스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한다.
‘AI 수리 어시스턴트’는 서비스 매니저와 대화하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서비스 결과를 요약해 고객에게 안내해준다.
원뷰 앱은 제품 수리에 더해 상담 서비스에도 동일하게 활용된다. 제품이 LG 씽큐에 연동돼 있는 경우 상담 컨설턴트가 원격으로 제품 상태를 진단하고 조치 방법을 안내할 수 있다. 간단한 문의는 무인 상담 시스템 ‘AI 보이스봇’을 통해서 대기 시간 없이 해결 가능하다.
‘AI 상담 어시스트’는 상담 내용을 텍스트로 실시간 변환하고 맥락을 파악해 해결책을 제시해준다. 해당 서비스는 고객 목소리를 인식해 과거 상담이력을 알려주거나 목소리 크기나 특정 키워드를 토대로 감정을 파악한다.
‘LG 이브닝 서비스’는 평일 낮 출장수리를 받기 어려운 고객을 위해 평일 오후 6시부터 8시 30분까지 운영한다. 지난해부터는 서울, 인천, 경기도 지역에서 부산, 대구, 대전, 광주 등 주요 광역시로 서비스를 확대했다.
△복지시설이나 도서·산간 지역을 찾아 가전제품 점검을 제공하는 ‘LG Go! 高! 돌봄 서비스’ △전담 상담사와 매니저를 배치해 제공하는 ‘시니어 고객 케어 서비스’ △수어 통역 자격과 서비스 전문 지식을 보유한 상담 컨설턴트가 제공하는 수어 상담 서비스 등도 제공되고 있다.
정연채 LG전자 고객가치혁신부문 부사장은 “AI와 DX 기반의 혁신 솔루션을 바탕으로 고객의 시간과 노력을 아끼는 한편 감동까지 전하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지속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