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S칼텍스는 10일 지난 1년간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분야 성과를 담은 ‘2024년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올해 20번째 발간된 이번 보고서에는 GS칼텍스가 ‘지속가능하고 수익성 있는 성장’이라는 목표인 그린 트랜스포메이션 로드맵에 따라 추진하는 탄소 저감 사업과 저탄소 신사업 등의 성과를 담았다.
현재 GS칼텍스는 ‘저탄소 정유 & 화학 산업단지’를 목표로 자가발전 확대, 무탄소 스팀 도입, 재생에너지 활용 등 에너지 사용의 구조적 변화를 실천 중이다. 지난해부터는 전국 주요 사업장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해 가동 중이다. 여기에 100MW(메가와트) 이상 규모의 재생에너지 직접 도입을 계획했다.
미래 에너지 전환을 위한 ‘New Energy Platform’ 구축을 목표로 하는 수소·CCUS와 바이오 및 CR·MR 등의 저탄소 신사업도 진행 중이다. 이에 여수 수소 허브 구축을 위한 여수 율촌 융복합 물류단지내 사업부지를 확보했다. ISCC CORSIA 인증을 받은 SAF(지속가능항공유)도 국내 정유사 중 최초로 상업 규모로 수출했다.
신사업과 탄소감축 연계의 경우 GS칼텍스가 운영하는 전국의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를 통해 발생한 탄소 감축 실적을 글로벌 탄소감축 인증 기관인 베라의 인증을 받아 자발적 탄소시장 배출권을 발행할 예정이다.
여기에 지난해부터는 바이오연료, 재활용, 탄소저감 등 주요 신사업 영역에서 전사 차원의 비즈니스 카운실을 신설했다. 이를 통해 실행력을 높이고 컴플라이언스 실사 체계 고도화 및 정보보안 활동을 강화해 다양한 리스크 요인에 선제 대응하는 중이다.
이번 보고서는 GS칼텍스가 새로 도입한 ESG 공시 시스템도 활용했다. 기존 시스템과 연계해 데이터 정합성을 제고하고 글로벌 ESG 공시 가이드라인을 고려한 설계가 이뤄졌다.
허세홍 GS칼텍스 사장은 “단기적 성과를 넘어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하는 지속가능경영을 실현하고자 한다”며 “거센 변화의 흐름 속에서 흔들림 없이 책임을 다하고 진정성 있는 도전과 혁신을 통해 100년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GS칼텍스는 2021년부터 환경보호 일환으로 인쇄물 대신 인터랙티브 PDF 형태의 디지털 리포트로 지속가능성보고서를 제작 중이다. 정보 확인은 보고서 내·외부 페이지로의 이동을 통해 할 수 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