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현대차·기아, 교통 격차 해결 위한 민관 협력체 NUMA 공식 출범

정부 정책, 기업 혁신, 학계 전문성 상호 협업하는 협의체
하재인 기자 2025-09-01 22:38:39
▲앞줄 왼쪽부터 강희업 국토교통부 2차관과 송창현 현대차·기아 AVP본부 사장이 현대차·기아의 교통약자 및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특화 차량을 관람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기아는 서울 광진구 그랜드 워커힐 서울 호텔에서 민·관이 경계 없이 협력하는 협의체인 ‘NUMA(누마)’의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1일 밝혔다.

현대차·기아가 올해 3월 소프트웨어 비전 행사 ‘Pleos 25(플레오스 이십오)’에서 NUMA 구축 계획을 발표한 뒤 처음 실시한 첫 공식 행사다.

출범식에는 강희업 국토교통부 2차관과 송창현 현대차·기아 AVP본부 사장이 참석했다. 

교통 약자를 배려한 유니버셜 디자인 차량과 나노모빌리티 등 현대차·기아의 모빌리티 제품과 협의체 참가사들의 AI 기술 기반 교통 관련 솔루션을 전시·시연하는 등 최신 기술을 직접 체험하는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NUMA는 지역 간 교통 격차와 사회적∙신체적 교통 약자의 이동 등 실질적인 사회 문제의 해결을 기업 혁신, 정부 정책, 학계의 전문성이 맞물려 해결해야 한다는 공감대로 시작했다.

단계별 활동 방향성을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각 참여 주체들간 상호 협력을 진행한다. △1단계: 지역교통의 AI 전환 및 기술기반 교통문제 해결 △2단계: 자율주행 기술 및 미래 모빌리티 디바이스 기반의 자율주행-MaaS 실현 △3단계: 스마트시티 전환을 위한 AI 모빌리티의 확산 등으로 활동이 이어진다.

협의체에는 현재까지 31개 주체들이 참여 중이다. 참여 주체의 경우 정부기관은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경기도, 한국교통안전공단 등이다. 민간기업은 현대차·기아, 현대카드, KT, CJ대한통운, 네이버 클라우드, 티맵모빌리티, 한화손해보험 등이다. 연구기관의 경우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국립한국교통대학교, 한국교통연구원 등이다.

현대차·기아는 참여하는 기관 및 기업들과 협력해 협의체를 운영한다. 동시에 참여사 간 활발한 네트워킹과 실질적인 과제 발굴이 이뤄지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정부는 교통기본법 제정 등 교통 소외지역과 교통 취약계층에 대한 정책 방향을 마련하고 미래 모빌리티 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NUMA는 개방형 협의체 모델이므로 향후에도 참여사를 받을 예정이다.

송창현 현대차·기아 AVP 본부장 사장은 “현대차·기아는 주관사이자 파트너로서 교통약자와 지역사회를 아우르는 기술 기반의 포용적 이동권을 실현하고 세계 도시들과 연결되는 글로벌 모빌리티 전환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강희업 국토교통부 2차관은 “국민은 누구나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며 “교통 격차 없는 대한민국, 모두가 자유롭고 안전하게 이동하는 사회를 위해 나아가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8월 중간은 하지로부터 약 50여일이 지난 시점이다. 따라서 그만큼 해의 고도와 열기도 낮아진다. 아침과
가을의 전령사
한여름이 되면 그 동안의 강렬한 햇볕으로 대지가 충분히 달궈져 그 열기가 더 이상 땅으로 흡수되지 못
‘열대야(熱帶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