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한미 이중저해 기전 차세대 항암신약 안전성·항종양 활성 확인

독일 베를린 ‘유럽종양학회’ 임상 1상 결과 발표
김시영 의학전문기자 2025-10-23 09:09:53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범석 교수(왼쪽)와 한미약품 ONCO임상팀 이동준 선임연구원(오른쪽)이 유럽종양학회(ESMO Congress 2025)에서 HM97662의 임상 1상 연구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한미약품
한미사이언스 핵심 사업회사 한미약품이 차세대 표적항암 혁신신약 ‘EZH1/2 이중저해제(HM97662)’의 임상 1상 시험에서 초기 안전성 프로파일과 항종양 활성을 확인했다.

23일 회사 측에 따르면 한미약품은 지난 17~21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ESMO Congress 2025)에서 HM97662에 관한 임상 1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에 담아 발표했다.

HM97662는 EZH1과 EZH2 단백질을 동시에 억제하는 ‘이중 저해 기전’을 통해 기존 EZH2 선택적 저해제 대비 우수한 항암 효능과 내성 극복 가능성을 갖춘 차세대 혁신 표적 치료제로 개발중이다.

HM97662 임상 1상 시험에서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안전성·내약성 및 약동학 특성 평가 결과, 일부 환자에서 초기 항종양 활성이 관찰됐다. 

HM97662는 치료 중단 또는 사망을 초래하는 중대한 독성 없이 관리 가능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나타냈고, 일부 환자에서는 ‘부분관해(PR)’와 ‘장기 안정병변(SD)’이 관찰됐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항암 활성이 확인된 사례로는 SMARCA4 결손 자궁육종 환자(300mg 투여)에서 RECIST v1.1 기준 부분관해(-39%)가 보고됐다. 또 난소암 환자(200mg 투여)에서는 15개월 이상 유지되는 안정병변과 최대 26%의 종양 감소가 관찰됐다.

김범석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에서 긍정적인 항종양 효과가 관찰된 데다, 일부 환자에서는 부분관해가 나타나고 장기간 안정병변을 유지하며 항암 치료를 지속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며 “앞으로의 후속 임상 연구를 통해 다양한 암종에서 효과적 치료 옵션으로 자리잡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노영수 한미약품 ONCO임상팀 이사는 “HM97662의 임상 1상 결과는 비임상 연구를 통해 입증된 EZH1/2 이중 억제 전략이 실제 임상 치료에서도 항종양 활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향후 다양한 암종으로 적응증을 확장하며 새로운 항암 치료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일반적으로 온대지역에서 식물은 봄에 날씨가 따뜻해 땅이 풀릴 때 소생해, 여름에 작열하는 햇빛과 풍부…
원숙의 시절
8월 중간은 하지로부터 약 50여일이 지난 시점이다. 따라서 그만큼 해의 고도와 열기도 낮아진다. 아침과 …
가을의 전령사